지난달 31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 컨벤션 센터. 12만m² 규모의 컨벤션 센터는 세계 각국에서 모여든 수많은 기업인으로 북적였다. 여기서 만난 캐나다 생명공학기업 ‘콘리스 글로벌’의 숨리타 바트 대표는 매년 두세 번 이곳을 찾는다고 했다.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려고 하는데 여기선 모든 게 가능하기 때문”이라며 “도시 자체가 새로운 구매처 발굴, 생산ㆍ연구 연계 등이 가능한 ‘국제 거점(Global Platform)’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내 금융 중심지로 꼽히는 탄종 파가르. 지난 1일 이 지역에 즐비한 초고층 빌딩 사이로 신ㆍ개축 중이라 골조가 드러난 건물이 사이사이 서 있었다. 도심 곳곳이 공사 현장이었다. 싱가포르국립대 경영대 부동산개발학과의 이관옥 교수는 “싱가포르에서 ‘제2의 건설붐’이 일고 있다”며 “현재 진행 중인 마리나베이 샌즈와 창이 국제공항 증축과 맞물려 대규모 투자가 몰렸고, 정부 역시 도심 용적률 상향 등 규제 완화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의ㆍ행사ㆍ전시에 공연ㆍ관광까지 망라하는 마이스(MICE) 산업은 싱가포르 내수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마리나베이 샌즈 컨벤션 센터에서만 2200건 행사가 열렸고, 120만명이 참석했다. 마리나베이 샌즈 건물 단 한 곳에서 고용ㆍ구매 등 내수에 기여한 금액이 지난해 21억9000만 싱가포르 달러(약 2조4000억원)에 이른다.

이를 가능케 한 건 2005년 싱가포르 정부가 추진한 ‘복합리조트(IR)법’이다. 당시 전 세계를 휩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이 싱가포르 경제를 위기로 내몰자, 정부는 규제의 벽을 과감하게 허무는 IR법안을 내놨다. 투자, 고용, 부동산 개발, 도시계획, 문화ㆍ공연 등 전방위로 제한을 풀었다. ‘금단’으로 꼽혔던 내국인 카지노까지 복합리조트 내 허용할 정도로 파격적인 내용이었다.
생존을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모험은 통했다.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1.9%, 2009년 0.1%까지 추락했던 싱가포르의 경제성장률은 복합리조트인 마리나베이 샌즈와 리조트월드 센토사가 개장한 2010년 14.5%로 뛰어올랐다(세계은행).
미ㆍ중 갈등 여파로 동아시아 국제도시로서 홍콩의 위상이 주춤한 사이 싱가포르는 IR법을 토대로 최근 투자 특수를 다시 누리고 있다. 싱가포르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건설과 부동산 부문 산업은 전년 대비 각각 6%, 5.2% 성장하며, 미 관세 정책 영향에 주춤했던 싱가포르 경기를 다시 끌어올리는 중이다.
이런 싱가포르의 성공 모델은 아시아 주요 국가로 확산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16년 일찌감치 ‘통합형 리조트(IR) 추진법’을 제정했다. 이를 토대로 1조3000억 엔(약 12조3000억원) 투자를 받아 오사카 서부에 위치한 인공섬 유메시마에 복합리조트를 2030년까지 건립하기로 했고, 지난 4월 첫 삽도 떴다.

아랍에미리트(UAE)의 경우 아부다비 북단 라스 알 카이마에 복합리조트가 지어지고 있다(2027년 준공). 지난 1월 태국 정부는 2029년 개장을 목표로 치앙마이ㆍ푸켓 등 4곳에 복합리조트를 건립하는 내용의 ‘통합 엔터테인먼트 사업법’을 승인했다. 필리핀도 이 경쟁에 가세했다.
한국만 제자리다. 한국은 ▶수억~수십억 단위의 배후 인구 ▶국제공항에서 차로 20~30분 거리의 입지(인천ㆍ부산ㆍ제주) ▶주류로 떠오른 K팝과 K뷰티ㆍK푸드 ▶세계 4위 규모의 제조 산업 등 싱가포르를 뛰어넘는 조건을 갖췄지만, 복합리조트 경쟁에선 크게 뒤처져 있다. 중앙정부ㆍ지방자치단체ㆍ의회와 관련 기관 간 각기 다른 이해관계, 여러 부처에 걸쳐 이중삼중으로 얽힌 규제 탓이다. 인천 영종 국제도시 내 복합리조트(미단시티) 건립이 추진되기도 했지만 이런 한계로 투자가 막히면서 현재까지 표류 상태다.
서원석 경희대 호텔관광대 학장(한국관광학회 회장)은 “복합리조트를 이미 국가 산업으로 키워낸 싱가포르, IR법을 토대로 복합리조트 착공에 들어간 오사카 등 동아시아 주요 도시의 경쟁은 이미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며 “한국이 도태되지 않으려면 싱가포르를 모델 삼아 IR법 제정,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복합리조트 산업 육성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관옥 교수는 “복합리조트로 성공하려면 각 도시가 가지는 독특한 점을 내세우는 등 차별화한 브랜드 전략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단독] GKL, 카지노 영업장 이전·확장 추진… 호텔 사업까지 넘보나](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OP1MLH_1.jpg)

![[비즈 칼럼] 경주 APEC과 세 개의 교차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6/f91f9888-15c6-494d-9dcd-b25acf35cd4d.jpg)


![[로터리] 포워딩 산업, 해수부가 맡아야](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67ITQH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