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장수 승마레저파크·장수목장 방문
학대받던 '유니콘'…20년 만에 마사회로
마사회 "말 등록제 의무화…학대피해 예방"
생활승마 확산…"말 복지 위해 노력할 것"
[전북=뉴스핌] 이정아 기자 = 지난 8일 찾은 한국마사회 장수목장. 푸른 초원이 펼쳐진 목장에서 한가롭게 고개를 숙여 건초를 씹는 말의 갈기 사이로 봄바람이 스친다. 목장 초입에 들어서면 쌀쌀한 공기가 느껴지지만, 평온한 기운이 감돈다. 그리고 이곳에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말 학대 사건의 생존마 '유니콘'이 있다.
"2006년 웜블러드(Warmblood) 품종 말을 수입하기 위해 제가 직접 독일에서 사온 말이 바로 유니콘이에요. 그런데 이렇게 다시 만나니 인연이라고 할 수 있죠."
김진갑 한국마사회 장수목장 처장은 유니콘이 건초를 받아먹는 모습을 지켜보며 조용히 말을 이었다. 유니콘은 경주마가 아닌 웜블러드 품종의 승용마다. 과거 마사회 경마교육원에서 교육용으로 활용되다가 용도 종료 후 민간으로 매각됐다. 그 후 정착한 곳은 충남 공주의 무허가 목장이었다.

지난해 해당 목장에서 벌어진 학대 정황은 충격적이었다. 방치된 말 15마리, 그리고 이미 목숨을 잃은 말들의 사체.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유니콘은 구조 후에도 입양처를 찾지 못한 채 떠돌았다. 그러던 중 마사회가 손을 내밀었다. 유니콘은 24세 고령의 몸으로 다시 옛 품으로 돌아왔다.
김 처장은 "유니콘이 처음 왔을 때만 해도 450kg으로 비교적 마른 편이었는데 지금은 500kg으로 아주 건강하다"며 "이곳 말 요양소는 최소한 마사회에서 사용했던 말들에 대해 마지막 단계까지 우리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짐이 들어있다"고 전했다.
백두대간 허리에 자리 잡은 장수목장은 지난 2007년 46만평 규모로 조성됐다. 덕유산부터 영취산까지 이어지는 험준한 능선을 따라 들어선 장수목장은 기후가 서늘하고 수분이 풍부해 말의 요양처로 제격이다.
요양소 한편에는 최고 명마로 평가받는 '터프윈'과 '동반의강자'도 자리를 잡았다. 두 말은 2008~2009년을 대표하는 경주마로, 아직까지도 마팬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다. 김 처장은 "터프윈과 동반의강자를 보기 위한 방문객들이 지금도 이곳을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국내 말 산업은 국민 수요 증가로 인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마사회에 따르면 말 두수는 지난 2020년 2만6525두에서 지난해 2만7521두로 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사업체 수는 2513개에서 2668개로 6.2% 늘었다.
다만 산업 성장 이면에는 유니콘 사례와 같은 말 학대 사례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유성언 마사회 말등록복지센터 처장은 "유니콘과 같은 학대 사례가 없도록 내년부터 말 등록제를 의무제로 강화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말 등록제는 말 소유주의 자율적 신고로 운영된다. 그러다 보니 용도가 종료된 말이 어디로 갔는지에 대한 이력 정보가 불투명하다. 김 처장은 "말 등록제 의무화가 학대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사회는 승마 스포츠 수요에 발맞춰 생활승마 대중화를 추진하고 있다. 승마체험 인구는 2020년 45만5000명에서 지난해 52만1000명으로 증가 추세다.
이에 마사회는 지난 2010년 전북 장수에 장수승마레저파크를 개장했다. 2018년에는 말산업 특구로 지정됐고, 2020년에는 승마레저파크 포니랜드를 조성했다. 이제는 연평균 2만여명이 방문하는 대표 공공승마 체험시설로 거듭났다.

특히 승마 원형마장과 체험주로, 마방, 외승로 등 전국 최고수준의 승마체험시설이 마련돼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승마체험이 가능하다. 또 승마체험과 연계한 가족단위 숙박시설도 운영한다.
이날 승마 체험에 나선 '건봉사'와 '더그룸블랙'은 착하고 온순한 성품으로 방문객들의 안전한 승마를 도왔다. 승마 중간중간 들판에 핀 꽃을 먹으며 잠시 여유도 부렸다. 승마 체험장을 돌아 나가면 말 먹이 체험도 할 수 있다.
장수승마레저파크의 말은 20여마리로 절반은 체험용, 절반은 전시용으로 활용된다. 방문객은 말 먹이 체험을 통해 말과 유대감을 쌓고, 승마 체험을 통해 궁극적으로 승마 스포츠에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퇴역 경주마가 승용마로 제2의 인생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승용 전환 교육을 실시하고, 국민 요구에 부응하는 말 복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