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에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조달할 경우 산단에 입주하는 삼성전자가 최대 30조4860억원의 전기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는 시민단체 분석이 나왔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면 탈탄소와 산업 경쟁력을 모두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린피스와 기후솔루션이 8일 전문 데이터 모델링 분석 기관 플랜잇에 의뢰해 발표한 연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삼성전자가 2030~2050년까지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을 통해 전력을 조달할 경우 지출해야 할 전기 요금은 153조230억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용인 국가산단에 신규 LNG 발전소 6기를 짓고 3기가와트(GW)의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1GW는 원자력발전소 1기의 발전 용량으로 150만명가량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현재 용인 국가산단의 재생에너지 조달 계획은 19.87MW으로 LNG 발전량의 0.67% 수준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LNG 대신 태양광을 쓸 경우 삼성전자가 부담할 전기 요금은 122조5370억원으로 약 30조4860억원 감소한다고 계산했다. 태양광·해상풍력·ESS(에너지저장장치)설비를 조합해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는 약 2조2820억원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조달이 현실성도 있다고 봤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반경 25km 이내 태양광 발전 잠재량은 66GW, 인천 및 충남 지역 20km 이내 해상풍력 잠재량은 11GW 수준으로 추정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LNG 발전소 건설이 향후 삼성전자의 ‘탄소 리스크’를 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계획대로 LNG 발전을 통해 전력을 조달할 경우 연간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977만t으로, 2023년 삼성전자 전 세계 반도체 사업장에서 발생한 배출량(946만t)과 비슷한 규모다. 삼성전자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로 전환한다는 RE100에 가입했다.
사단법인 넥스트 보고서를 보면, RE100 회원사들의 재생에너지 100% 조달 목표 시점은 평균 2028년이다. 2025년부터 반도체 구매 기업들이 RE100에 동참하지 않는 협력사들을 공급망에서 배제할 경우 삼성전자의 매출 감소도 불가피하다.
임장혁 기후솔루션 에너지시장정책팀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글로벌 공급망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글로벌 거래 조건이 악화되거나 공급망 탈락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