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근로환경 개선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크래프톤이 여전히 '고정 OT제' 형태의 준포괄임금형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정부가 게임업계 노동환경 개선을 공식 의제로 논의하는 상황에서 올해 업계 최고 수익을 내는 크래프톤 행보가 주목된다.
게임업계는 오랫동안 프로젝트 일정에 맞춘 장시간 노동과 포괄임금제가 관행처럼 이어져 왔다. 그러나 2017년 개발자 과로사 사건을 계기로 제도 개선이 본격화되면서 펄어비스를 시작으로 넥슨,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스마일게이트 등 주요 기업이 잇따라 폐지했다.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최근 2026년 1월부터 비(非)포괄임금제를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근무시간에 따라 연장근로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개편하는 게 골자다. 명확한 보상 체계를 확립하고 불필요한 근로 관행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현재 매출 상위권 게임사 가운데 포괄임금제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는 게임사는 크래프톤이 대표적이다. '고정 OT제'라는 기본급과 연장근로 수당을 구분하되, 약정된 시간분의 수당을 정액으로 지급하고 초과 근무 시 추가 지급이나 보상휴가로 대체하는 구조다. 표면적으로는 기존 포괄임금제와 다르지만, 일정 시간 이상의 초과근로를 정액으로 미리 지급한다는 점에서 '준포괄임금형'으로 분류된다.
노동계에서는 실근로시간 산정이 가능한 직군까지 고정OT제를 적용할 경우 포괄임금제와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2019년 고용노동청이 제도 개선을 권고한 바 있으나, 회사는 “업종 특성과 효율적 운영을 고려한 제도”라며 유지 방침을 이어오고 있다.
이에 대해 크래프톤 관계자는 “크래프톤은 포괄임금제가 아닌 고정 OT제를 운영 중”이라며 “추가 연장 및 야간, 휴일 근로 발생 시 법정가산율 이상으로 보상휴가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는 포괄임금제 폐지를 법제화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짜 야근의 근본 원인인 포괄임금제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공약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임명 이후 근로기준법 개정 추진이 본격화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6일 김영수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주재로 콘텐츠코리아랩에서 주요 게임사 노조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주 52시간제' 및 근로문화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 넷마블, 스마일게이트, 엔씨소프트, NHN, 카카오 등 주요 게임사 노조가 참석했으나 노조가 없는 크래프톤은 참여하지 않았다.
참석자들은 “노동시간의 양적 투입보다 자유롭고 수평적인 근로문화 정착이 중요하다”며 “현업 개발자들도 맹독성 과금을 게임에 넣기를 원하지 않는다. 단기적인 매출에 집중한 흥행작보다는 개발자들이 게임 본질인 '재미'에 집중하고 창의적이고 다양한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영수 차관은 “노동환경 개선이 결국에는 산업 발전으로도 이어진다”며 “오늘 나온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산업이자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문화창조산업'인 게임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노동환경 개선과 더불어 산업 발전에 대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정은 기자 jepark@etnews.com
![[예규·판례] 행법 "백화점·면세점, 입점업체 직원과도 업무조건 단체교섭해야"](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5/art_17623018650717_b7ddcb.png)





![[GAM]'반토막' UPS 지금이 바닥 ① '아마존 손절' 고마진 전략 결실](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