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CPI 전년 동월비 2.7%↑
트럼프, 금리 3%P 인하 압박
“이달 말 의약품·반도체 관세”
印尼와 관세 32→19% 타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6월 들어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반등했다. 관세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의 관심이 집중되는 반도체 관세 등 추가 품목 관세 부과 계획도 곧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노동부는 15일(현지시간)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3% 상승했다. 상승률이 5월(2.4%) 대비 반등하며 지난 2월(2.8%) 이후 가장 높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추진 중인 관세 부과의 여파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에서는 관세 급등을 대비해 기업들이 쌓아놓은 재고가 소진되는 올여름부터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지속해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6월 CPI가 전월 대비 반등했다는 발표에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향해 “소비자 물가는 낮다. 당장 연준금리를 내리라”고 촉구했다. 그는 다른 게시물에서는 “연준은 금리를 3%포인트 내려야 한다”며 “인플레이션이 매우 낮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질문받고 “아마도 이달 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서 제약회사들에 1년여 (미국 내 생산라인을) 건설할 시간을 줄 것”이라며 “그런 다음 우리는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외국산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 시간표에 대한 질문에 “(의약품과) 비슷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카리브해 주변 등 “작은 나라들”에 10%를 조금 넘는 상호관세율을 일괄 적용할 것이라며 곧 관세 서한을 대상국들에 발송할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와 무역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고 알렸다. 영국, 베트남에 이어 세 번째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합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는 우리(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를 지불할 것이며, 미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상품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면제된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가 지난 4월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와 지난 7일 받은 서한에서 책정된 관세율은 32%였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