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프로야구는 2027년 이후에도 티빙(TVING)을 통해 봐야할 전망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8일 "2026년에 만료되는 KBO리그 유무선(뉴미디어) 중계권 계약과 관련해 CJ ENM과 차기 계약 우선협상을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사실상 재계약이다. 구체적인 계약 기간과 금액은 조율이 끝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CJ ENM은 2024~2026년 KBO리그 중계권을 3년 총액 1350억원(연평균 450억원)에 확보한 바 있다. 당시 계약 규모는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고액. 이번 협상에서도 총액 기준으로 "이전보다 상당히 오른 액수"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KBO 관계자는 "세부 금액은 공개 시점에 맞춰 따로 발표할 것"이라고만 말했다.

핵심은 단순한 재계약이 아니라 중계권 생태계 유지다. KBO는 2024년 계약부터 중계 영상의 소셜 미디어 활용을 자유화했고 이는 2024·2025년 2년 연속 1000만 관중 돌파의 밑거름이 됐다. 티빙(TVING)을 통한 유무선 중계도 변화를 이끌었다. 기본 요금제 5500원으로 접근성이 높았고 CJ ENM은 자체 중계·편파 중계·무음 중계 등 다양한 실험을 했다.
KBO 마케팅 자회사 KBOP는 이번 계약에 대해 "야구팬 편의 확대를 우선 기준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우선협상권 조항은 이미 2024년 계약서에 포함돼 있었다. 시장에서는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과 해외 OTT 사업자까지 중계권 경쟁에 뛰어들 것이란 전망이 있었지만 협상 결과는 기존 사업자 유임이었다.
KBO는 폭발적인 관중 증가 흐름을 끊지 않겠다는 판단이다. 지난 계약은 이전 5년 계약(총액 1100억원)과 비교해 평균값 기준 두 배가 넘는 금액이었고 이번 계약도 그 이상일 가능성이 크다.
2027년 이후 몇 년간 KBO리그를 보려면 OTT 티빙을 이용해야 한다. TV 중계는 유지되지만 모바일·PC 스트리밍 권한은 CJ ENM이 독점한다.
psoq1337@newspim.com

![[아이돌 해부] "7년차 징크스, 이젠 옛말"…K팝도 '장기 브랜드 시대'](https://img.newspim.com/news/2025/11/17/251117160310362_w.jpg)

![[AI의 종목 이야기] RTX 자회사 프랫&휘트니, 에어버스와 3년 엔진 공급 계약 논의](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에이플러스에셋, 상한가 직행…'행동주의' 얼라인 "주당 8000원에 공개매수" [줍줍 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JRQ8W_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