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전기 저수지' ESS 시장 열린다

2025-05-22

총 사업비가 1조 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린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육지 및 제주 지역의 전력계통 부족 및 발전소 출력 제어(발전량 제한) 해소를 위해 540메가와트(㎿)에 달하는 대규모 ESS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ESS는 전기가 너무 많이 생산될 때 전기를 충전해뒀다가 전력 수요가 높을 때 이를 내보내는 ‘전기 저수지’다.

산업부는 이번 ESS 중앙시장계약 입찰을 통해 육지와 제주에 각각 500㎿, 40㎿ 규모의 ESS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올해 2월에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ESS 도입 규모를 반영한 것이다.

이번 ESS의 경우 충전 가능 시간이 하루 6시간임을 감안하면 실제 설치되는 ESS 용량은 육지 3000메가와트시(㎿h), 제주 240㎿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3000㎿h는 약 8600가구가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달하는 규모다.

전력거래소의 지시에 따라 운영되는 ESS 설비가 전국적으로 본격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정부는 앞서 2023년 8월 제주에 65㎿ 규모 ESS 물량을 도입하기 위한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들어 전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봄·가을에 내륙 지역에서 전력 계통 부족으로 인한 출력 제어가 발생해 ESS 추가 도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에어컨·히터 등을 틀지 않아 전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봄·가을에는 그만큼 석탄·화력 등 일부 발전소의 가동을 멈춰야 하는데 이로 인한 손해를 누가 감당할 것인지를 두고 사회적 갈등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ESS 증설 필요성을 키웠다.

한편 정부 안팎에서는 이번에 도입이 예고된 ESS 건설비가 총 1조 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가격 요소뿐만 아니라 계통 기여도, 안전성 등 비가격요소를 종합 평가해 7월 중 최종 낙찰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산업 기여도, 폐배터리 재활용성 등이 평가 항목에 들어간 점을 고려할 때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경쟁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ESS 도입 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전력망 안정성이 강화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출력제어 빈도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