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기업 A사는 최근 온라인 게시판에 올라온 게시글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상장기업인 이 회사의 이사회 자료와 재직자만이 알 수 있는 내부 기밀정보가 주주 커뮤니티와 온라인 게시판에 유출됐기 때문이다. 유출된 정보는 이사회 의결 사항, 경영진 인사정보, 재무제표 공시 전 수치 등 외부에서는 절대 알 수 없는 기밀정보였다. 주주들에 대한 악성댓글과 사실 왜곡된 내용도 포함됐다.
A사 측은 “유출자는 과거 해당 기업에 재직했던 퇴직자로 추정되며, '내부 고발'이라는 명목으로 정보를 유출하면서도 사실을 왜곡해 기업과 주주들에게 피해를 주었다”며 “이로 인해 상장기업으로서의 신뢰도 하락과 주가 변동 등 심각한 리스크도 발생 했다”고 토로했다.
A사는 평판관리 전문 기업에 의뢰에 빠른 시간 내 게시글을 모두 삭제했다. 의뢰를 받은 전문기업은 1단계 긴급 삭제 조치부터 진행했다. 정보통신망법 제44조의2 임시조치 신청을 통해 사이트 운영자에게 즉시 게시글 삭제 요청했다. 또 명예훼손 분쟁조정을 통해 악성댓글, 사실 왜곡 게시글 대상으로 삭제 중재를 신청했다.
2단계는 근본적 해결 단계다. 형사고소를 통한 삭제 작업과 영업비밀 침해, 명예훼손 등 고발을 동시 진행했다. 민사소송을 통해서는 법원의 게시글 삭제 명령 획득하고 손해배상과 함께 재게시 금지 조치를 실시했다.
평판관리 전문기업 관계자는 “이 같은 절차를 해당 기업이 직접 진행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전문기업에 의뢰해 합법적으로 온라인에 올라온 기밀정보를 빠르게 삭제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A사 외에도 피해 사례는 다양하다. △주주 커뮤니티에 이사회 의결 사항 무단 공개 △온라인 게시판에 공시 전 재무 정보 유출 △경영진 인사정보 등 기밀 사항 노출 △'내부고발' 명목의 사실 왜곡된 내용 게시 △임직원, 주주에 대한 악성댓글 동반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같은 정보 유출로 기업이 겪는 피해도 적지 않다. 주가 변동 및 투자자 신뢰도 급락은 물론 경쟁사에 중요 정보가 노출되기도 한다. 또 브랜드 이미지 실추와 추가 정보 유출 우려로 인한 경영 위축도 해당 기업이 결국 떠안아야 할 짐이 된다.
그럼에도 해당 기업의 잘못된 대응으로 문제를 키우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 지나면 묻힐 것'이라며 안일하게 대응하거나 직접 사이트 운영자에게 연락해 보지만 거부당하며 골든타임을 놓치기도 한다. 법적 근거 없는 삭제 요청은 대부분 시간 낭비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올바른 대응에는 세 가지 원칙이 있다고 지적한다. 첫 번째는 '골든타임 72시간'으로 시간을 끌지 말고 유출 즉시 전문가에게 상담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는 체계적 증거 수집으로 게시글 캡처나 접속 기록을 보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형사·민사·행정 조치를 동시에 진행하는 등 다각적 법적 대응을 준비해야 한다.
윤대원 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