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 장사 접으라는 얘기" 소상공인들도 뿔났다

2025-11-09

소상공인들이 ‘새벽배송(0~5시) 제한’ 주장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논평을 내고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는 새벽 배송 금지 주장을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새벽배송 제한이 현실화화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가 막혀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우려된다”면서다.

회원 수 80만여 명인 소공연은 국내 유일의 소상공인 법정 경제단체다. 택배기사와 소비자단체에 이어 소공연까지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관련 논쟁은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이날 소공연은 “내수 부진 속에서 온라인 판매로 간신히 활로를 찾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의 위협”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벽배송 금지는 소상공인 생태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며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쿠팡 등 새벽배송 온라인 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 규모를 모아 정부에 손실 보상을 요구하겠다”고 예고했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금지될 경우 소상공인 매출은 연간 18조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쿠팡 등 e커머스 업체의 매출도 33조2000억원, 택배업계는 2조8000억원 각각 감소해 관련 경제적 손실이 연간 총 54조원에 달한다는 예측이다.

실제 소상공인과 중소업체의 우려는 크다. 경남에서 김치 제조사를 운영하는 A씨는 중앙일보에 “e커머스 업체가 갓 담근 우리 김치를 새벽배송으로 전국에 신선하게 배송하면서 5년 만에 매출이 38배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같은 업종의 지방 업체가 수도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길이 새벽 배송인데 이를 막는다면 ‘사업을 접으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북 임실군 냉동채소업체 그린피아의 김학영 대표는 “주변에 대형마트 같은 납품처가 없어, 다 망할 뻔한 사업이 새벽배송 덕에 살아났는데 새벽 배송이 사라지면 사업은 존폐 위기에 처하고 지역 농가도 피해를 입는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8년 전 법정관리 직전까지 갔지만, e커머스 업체의 직매입과 새벽배송을 통해 전국 단위 판매를 시작했고, 이젠 연 매출 8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소공연 관계자는 “새벽 배송으로 채소 등 식재료를 공급받아 장사하는 소상공인은 새벽 배송이 안 되면 직접 차를 몰고 새벽에 식재료를 사러 가야 해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논란은 택배노조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열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의 과로 방지를 이유로 ‘새벽배송 제한’을 제한하면서 불거졌다. 현재 새벽배송은 쿠팡·SSG닷컴·오아시스마켓·컬리 등이 운영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이다.

새벽배송 기사들은 택배노조의 주장에 대체로 반대한다.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친구노동조합(쿠팡노조)은 7일 “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은 (쿠팡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쿠팡노조는 2023년 “정치 활동이 아닌 조합원을 위한 활동에 집중하겠다”며 조합원 93% 찬성으로 민주노총을 탈퇴했다. 또 쿠팡 위탁 택배기사 약 1만 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가 지난 3일 24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선 약 93%가 새벽 배송 금지에 반대했다.

논란이 커지자 민노총 측은 “새벽 배송 전면 금지를 주장한 게 아니라, 오전 5시 출근 조가 긴급한 새벽 배송을 담당하자는 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쿠팡 측은 “오전 5시 출근 조만으로는 새벽 배송 자체가 불가능해 이는 사실상 새벽 배송을 금지하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