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자·한국인 배우자 등 정책 수혜자 20명 참여
정착 지원에서 자립·역량 강화 중심으로 정책 전환 논의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성평등가족부는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를 열고 참여위원들과 함께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정책 수혜자인 다문화가족이 직접 의견을 제시하는 자문기구다. 2015년부터 운영 중이며 제7기 참여위원은 총 20명으로 결혼이민자 15명, 한국인 배우자 4명, 다문화자녀 1명 등으로 구성돼 지역과 출신국가, 가족 형태를 고르게 대표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원들이 다문화가족 부모로서 한국에서 자녀를 키우며 겪은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제도 개선과 지원 확대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 결혼이민자의 국내 장기 거주 비율이 50%를 넘어가고 다문화가족 자녀의 평균 연령도 높아짐에 따라 초기 '정착 지원'에서 후기 '자립·역량 강화' 관점으로 다문화정책 방향의 전환과 구체적 지원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한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다문화 정책의 실효성과 수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 디딤돌"이라며 "앞으로도 정책 수요자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여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hyeng0@newspim.com





![VR 가상도시서 정책 논의… AI가 의회 정보 제공 [심층기획-위기의 민주주의, 미래를 묻다]](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2025111751717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