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이냐" "위장보수 척결"…국힘, 이번엔 패널인증제로 두쪽

2025-09-13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당원의 방송 출연을 당이 인증하는 ‘패널인증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일주일째 당 안팎이 소란스럽다. 장 대표는 지난 7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국민의힘을 공식적으로 대변하는 인물임을 알리는 패널 인증제도를 시행하겠다”는 구상을 드러냈다. “방송에서 의견을 가장해 당에 해를 끼치는 발언을 하는 것도 해당 행위다. 당원이면서 국민의힘 명찰을 달고 패널로 나선 경우 제명을 포함한 가장 강력한 조치를 하겠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강성 지지층은 이에 호응하듯 ‘패널NO!’ ‘섭외 NO!’ 라는 구호를 담은 포스터를 온라인에 유포했다. 친한계 등 쇄신파 인사 30명의 명단이 담긴 이 포스터엔 “이들이 보수를 대변하지 않습니다”란 문구가 달렸다. “당을 비판만 하는 ‘위장 보수’ 패널을 걸러내야 내야 한다”는 강성 당원들의 요구를 장 대표가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됐다. 당 소속 국회의원들도 “우리 당 패널로 나온 인사가 민주당 편만 드는 경우가 비일비재 했다. 외관으로는 수적 균형을 맞추면서 일방적 구타를 가하는 것”(중진 의원)이라며 동조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저격 당한 인사들이 반발하면서 패널인증제는 당내 갈등으로 비화할 조짐이 일고 있다. 8·22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에 도전했다가 낙선한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1일 페이스북에 “여당 시절 용산에서 직간접으로 방송 패널 섭외에 관여했다는 조짐은 있었지만, 야당이 패널인증제를 시행한다는 이야기는 난생 처음 들어본다”고 썼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 10일 채널A 방송에서 “패널 인증제에 해당하지 못하는 인사가 생긴다면 그 인사들이 오히려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될 구조”라고 꼬집었다. “전두환 때 보도지침과 비슷하다”(김종혁 전 최고위원) “불썽사나운 모습”(김성태 전 의원) 등 반응도 나왔다.

국민의힘은 ‘정진석 비대위’ 체제이던 2022년 12월에도 패널인증제를 추진했지만 무산된 이력이 있다. 당시 여당이던 국민의힘은 KBS 등 11개 방송사에 ‘패널 구성 시 공정성 준수 요청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내 “진짜 보수 패널을 출연 시켜 줄 것을 희망한다”고 요청했다. “보수 패널로 등장하는 분들은 자칭 보수 혹은 방송사가 보기에 보수 패널인 경우가 적지 않다”(정진석 당시 비대위원장)는 이유였다.

그러나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당 지도부가 장성철 공감과논쟁 정책센터 소장 등 일부 패널을 “위장 보수”라고 공격하며 갈등이 형사 고소전으로까지 비화했다. “당이 언로를 통제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결국 흐지부지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