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와 클라우드가 이끄는 인탭의 새로운 도약
AI 솔루션과 파트너십으로 시장 경쟁력 강화
클라우드 ARR 29% 성장, 고객 유지율 120%
이 기사는 8월 20일 오후 4시5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미국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 전문기업 인탭(종목코드: INTA)이 지난 12일(현지 시각) 발표한 2025회계연도 4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올해 들어 42% 급락했던 주가의 반등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2000년 설립돼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본사를 둔 인탭은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총매출 1억3500만 달러를 기록해, 월가 전망치 1억3210만 달러를 2.2% 상회했다. 특히 조정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27센트로 팩트셋 집계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23센트를 17.4% 웃도는 강력한 성과를 보였다.

인탭의 이번 실적에서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클라우드 사업의 폭발적 성장이다. 4분기 클라우드 연간반복매출(ARR)은 3억831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전체 ARR 4억8540만 달러의 79%를 차지했다. 이는 회사의 클라우드 중심 전략이 본격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존 홀 최고경영자(CEO)는 "2025회계연도 실적은 혁신적인 AI 솔루션 출시, 글로벌 고객 기반 확장,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우리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AI 우선 전략과 클라우드 전환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 클라우드 ARR 29% 급증, 고객 충성도 극대화
인탭의 클라우드 사업 성장세는 단순한 매출 증가를 넘어 고객 기반의 질적 향상을 보여준다. 현재 고객의 93%가 최소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모듈을 사용하고 있으며, 80% 이상의 고객이 클라우드 환경에 완전히 전환을 완료했다.

더욱 인상적인 것은 클라우드 순매출 유지율(NRR)이 12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기존 고객들이 서비스 사용을 확대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SaaS 기업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서 인탭의 서비스 경쟁력과 고객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입증한다.

회사는 2025회계연도 말 기준 2700개 이상의 고객을 확보했으며, 특히 ARR 100만 달러 이상의 대형 고객이 109곳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다. 이는 인탭이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 AI 혁신으로 차별화된 경쟁 우위 확보
인탭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은 AI 기술의 전면적 도입이다. 회사는 인탭 베오크라우드 액티베이터, 딜클라우드 인탭 어시스트, AI용 인탭 월스 등 수직형 SaaS 플랫폼 전반에 생성형 AI 기능을 통합했다.

AI 지원 솔루션의 채택률은 눈에 띄게 증가했다. 딜클라우드용 어시스트가 신규 계약의 약 35%를 차지해 전년도 8%에서 무려 4배 이상 급증했다. 이는 고객들이 AI 기능의 가치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
홀 CEO는 "우리의 AI 전략은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업계의 복잡한 규제 환경을 준수하면서 회사의 독점 데이터와 관계,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고유한 통찰력을 제공해 전문가들의 수익 증대를 돕는다"고 설명했다.
◆ 전략적 파트너십이 견인하는 매출 성장
인탭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대형 기술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스노우플레이크(SNOW), MSCI와의 협력은 회사의 시장 진출 전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데이비드 모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파트너 생태계는 145개 활성 파트너와 함께 2025회계연도를 마감했으며, 파트너 영향을 받은 예약액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최대 20건 거래 중 17건에 파트너가 참여할 정도로 파트너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스노우플레이크와의 전략적 협력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인탭의 딜클라우드 플랫폼이 스노우플레이크의 AI 데이터 클라우드와 통합돼, 공동 고객이 시스템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을 적용해 딜 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도 판매 주기 단축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조달 활용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인탭이 더 넓은 시장에 접근하고 기존 관계를 활용해 상위 기업 부문에서 승률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탄탄한 재무 구조와 현금 창출 능력
인탭의 재무 건전성은 지속적인 성장의 든든한 뒷받침이 되고 있다. 4분기 말 현재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3억1310만 달러로 1년 전 2억840만 달러에서 50% 이상 증가했다.

영업 현금 흐름은 전년도 6720만 달러에서 1억2350만 달러로 84% 급증해 회사의 현금 창출 능력이 크게 개선됐음을 보여준다. 잉여 현금 흐름도 3750만 달러로 총 매출의 28%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현금 창출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입증했다.
이러한 강력한 현금 창출 능력을 바탕으로 회사는 최대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이는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자본 배분 정책의 일환으로, 회사가 자신의 미래 성장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2026년 전망, 시장 기대치 크게 상회
인탭이 제시한 2026회계연도 전망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회사는 총매출을 5억6670만~5억7070만 달러로, 비GAAP 주당순이익(EPS)을 1.09~1.13달러로 전망했다.

특히 EPS 전망치는 월가 컨센서스 0.90달러를 25% 이상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사의 수익성 개선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2026회계연도 SaaS 매출은 4억1140만~4억1540만 달러로 예상되며, 이는 지속적인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를 의미한다.
1분기 매출은 1억3480만~1억3580만 달러로 예상돼 월가 컨센서스 1억3400만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1분기 조정 EPS 가이던스는 0.18~0.20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0.22달러보다 다소 낮은 수준인데, 이는 성장 투자를 위한 일시적인 비용 증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 주가 부진의 배경과 반등 요인
이번 강력한 실적 발표는 올해 들어 42% 하락(8월 12일 실적 발표 전)했던 인탭 주주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었다. 회사가 연간 4억3000만 달러의 매출을 창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부진했던 이유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과 시장의 우려 때문이었다.
특히 지난 7월부터 여러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 하향 조정이 이어지면서 주가 부진이 지속됐다. 스티펠의 파커 레인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65달러에서 60달러로, 바클레이스가 60달러에서 44달러로, 씨티그룹의 스티븐 엔더스 애널리스트가 66달러에서 53달러로 연이어 하향 조정했다.
고객 이탈과 실행 과정에서의 문제들이 클라우드 전환의 발목을 잡으면서 투자자들의 신뢰가 크게 떨어진 상황이었다. 스노우플레이크, MSC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등 긍정적인 발표들이 있었지만, 이러한 호재들은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4분기 실적은 이러한 우려들이 상당 부분 해소됐음을 보여준다. 특히 클라우드 ARR의 29% 성장과 120%의 순매출 유지율은 클라우드 전환 전략이 성공적으로 안착했음을 입증하는 핵심 지표다.
▶②편에서 계속됨
kimhyun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