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DL이앤씨는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지난 9월 서울 마곡 사옥에 최첨단 스마트 종합안전관제상황실을 구축하고, 정규직 중심의 안전 인력을 현장에 투입해 원청사 책임을 강화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또한 근로자들이 적극적으로 안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도를 확대했습니다.
관제시스템을 개선해 현장별 안전관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위험 작업 구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상황실에는 55인치 모니터 32대가 설치돼 근로자 출역 현황, TBM 실시 현황, 고위험 작업 구분 등 주요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또한 IoT 기반 안전삐삐를 도입해 근로자의 위치와 층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정 시간 움직임이 없거나 위험 구역 접근 시 경고 알림이 발생하며, 근로자가 직접 SOS 신호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와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졌습니다.
DL이앤씨는 관제상황실 외에도 CCTV 관제요원을 별도로 채용해 현장 감시망을 강화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선발된 50여명의 요원이 자택에서 실시간으로 현장을 모니터링하며 특이사항을 본사에 보고합니다.
CCTV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현장 순찰 인력도 대폭 늘렸습니다. 현장 직원과 신호수의 바디캠 착용을 의무화해 사고 시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개선책을 도출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올해 8월부터는 ‘세이프티 패트롤(Safety Patrol)’ 100여명을 본사 정규직으로 선발해 전국 현장에 투입했습니다. 세이프티 패트롤은 작업 환경 점검과 안전규칙 준수 독려를 담당하며, 전문 교육과 자격증 취득 지원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근로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안전신문고’와 ‘D-세이프코인(D-Safe Coin)’ 제도도 확대됐습니다. 근로자가 현장 내 위험 요소를 발견해 신고하거나 개선 제안을 하면 포인트를 지급받고, 카카오페이 머니로 전환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말까지 무재해 목표 달성을 위해 두 배 적립 캠페인도 진행 중입니다.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AI 자동번역 시스템을 개발해 출입 확인, 안전 공지, 업무 알림 등을 실시간으로 다국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등 8개 언어로 제작된 안전 교육 애니메이션을 현장 교육에 활용해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인식 향상을 돕고 있습니다.
전종필 DL이앤씨 CSO(최고안전책임자)는 “회사의 모든 구성원이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고 예방을 위해 물적·인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ET단상]폐쇄망 환경에서 AI 에이전트 구축 성공하려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15/news-p.v1.20251015.b0bcaeb3452d4addbe698523ca8a7141_P3.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