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정부, ‘침대 밑 달러’ 활용 방안 발표 예정

2025-05-11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가 국민이 보유한 미신고 자산인 이른바 ‘침대 매트리스 밑 달러’의 활용 방안을 이번 주 발표한다고 아르헨티나 매체 페르필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침대 밑 달러’라는 말은 아르헨티나 일부 국민이 여러 이유로 달러를 비롯한 자산을 국내 은행에 입금하지 않고 침대 매트리스 밑에 숨긴 데서 비롯됐다. 즉 정부의 외환 규제 때문에 합법적 방법으로 달러를 사들일 수 없어 불법 외환시장을 통해 구입한 달러, 탈세 이유로 불법적 방법으로 산 현금 자산 등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에는 현지 은행 대여 금고 속 자산과 해외 조세 회피처의 프라이빗 뱅킹 계좌 내 자산 등 은닉 현금자산도 포함된다. 아르헨티나 국민의 미신고 달러 보유 규모는 약 2712억달러(392조원)로 추정되고 있다. 수십 년간 경제 위기를 겪은 아르헨티나 국민은 자국 화폐 대신 미국 달러로 저축하는 습관이 있으며, 부동산 거래는 달러 거래가 암묵적인 규칙인 것으로 알려졌다.

‘침대 밑 달러’는 일반적으로 새 정권 출범과 함께 ‘블랑께오’(은닉 재산 면세)라고 불리는 일종의 사면 조처를 통해 양성화 과정을 거쳐왔다. 밀레이 정부도 지난해 9월부터 블랑께오를 실시해 큰 성공을 거뒀는데, 이번엔 이 절차를 밟지 않고도 미신고 달러 현금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하겠다고 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번 조치는 밀레이 정부가 불과 한 달 전에 국제통화기금(IMF)과 200억달러(28조원) 규모의 차관에 합의한 가운데 나와 눈길을 끌었다. 루이스 카푸토 경제부 장관은 이번 조치를 통해 침대 밑 달러가 수면으로 올라와 부동산, 자동차, 전자기기 등 구매에 사용되면 내수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페르필은 침대 밑 달러의 활용 방안을 두고 정부가 외환보유고 증대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전문가들은 밀레이 정부가 침대 밑 달러까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2026년 상환해야 할 외채 규모가 250억달러(35조원)에 달하기 때문으로 내다봤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