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성문·문보경·노시환·김영웅·한동희···전문 1루수 없이 3루만 5명
WBC 직전 김도영 복귀도 변수···김하성·김혜성 등 메이저리거도 합류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대한민국 야구대표팀의 내야가 유례없는 '호화 라인업'을 구축했다. 그러나 그 화려함만큼이나 류지현 감독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대표팀 명단에만 3루수를 맡을 수 있는 선수가 무려 다섯 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각기 다른 장점과 개성을 지닌 선수들이라 단순히 '누가 낫다'로 정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류지현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지난 2일 소집 이후 본격적인 담금질에 돌입했다. 2~3일 고양 국가대표 훈련장에서 몸을 풀었고, 4일부터는 고척 스카이돔으로 이동해 조직력 점검에 들어갔다.

이번 대표팀은 오는 8~9일 체코, 15~16일 일본과의 평가전을 준비 중이다.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앞둔 '예비 테스트' 성격인 만큼, 이번 엔트리에서 눈도장을 찍은 선수는 내년 3월 WBC 무대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포지션은 단연 3루다. 대표팀 35명 명단 중 소속팀에서 주로 3루를 지키는 선수는 송성문(키움), 문보경(LG), 노시환(한화), 김영웅(삼성), 한동희(상무) 등 다섯 명.
류지현 감독은 "지금 가장 큰 고민이 바로 3루"라며 "좋은 선수들이 너무 많아 어떤 조합이 최선일지 포스트시즌 내내 고민했다. WBC 최종 엔트리를 발표할 2월까지도 이 문제는 계속될 것 같다"라고 털어놨다.
이번 대표팀은 1루수를 따로 선발하지 않았다. 류 감독은 이에 대해 "3루수 자원들이 1루 수비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라며 "1루 주전감이 될 만한 선수가 리그 내에서도 많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SSG 고명준, 한화 채은성, 키움 최주환, 롯데 나승엽, KIA 오선우 등이 올 시즌 1루수로 활약했지만, 성적이나 기량 면에서는 3루 주전급 선수들이 더 뛰어났다.

5명의 3루수 면면을 살펴보면 대단했다. 노시환은 올해 전 경기에 출전해 타율 0.260(539타수 140안타) 32홈런 101타점 97득점 14도루 OPS(출루율+장타율) 0.851을 기록하며 개인 통산 두 번째 30홈런-100타점 시즌을 보냈다. 특히 수비에서 1262.1이닝을 소화하며 KBO리그 내야수 중 최다 이닝을 소화한 것도 눈에 띈다.
송성문도 전 경기에 출전해 타율 0.315(574타수 181안타) 26홈런 90타점 103득점 25도루 OPS 0.917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보냈다. 그는 이번 시즌 3루수 골든글러브 유력 후보로 꼽히며, 겨울에는 메이저리그 진출까지 타진할 예정이다.

문보경은 141경기 타율 0.276(515타수 142안타) 24홈런 108타점 91득점 3도루 OPS 0.831로 앞선 두 선수보다 성적이 부족하지만 이번 한국시리즈에서 타율 0.526 8타점 OPS 1.451로 LG의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김영웅은 125경기 타율 0.249(446타수 111안타) 22홈런 72타점 66득점 6도루 OPS 0.778로 다소 부진했지만 포스트시즌에서 10경기 타율 0.424(33타수 14안타) 4홈런 15타점 6득점 OPS 1.464 맹타를 휘두르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한동희는 상무에서 군 복무 중이기 때문에 퓨처스리그에서 뛰었지만 100경기 타율 0.400(385타수 154안타) 27홈런 115타점 107득점 OPS 1.155를 기록하며 놀라운 성적을 거뒀다.

현재로서는 우타 거포 자원이 부족한 대표팀 사정상, 노시환이 주전 3루수로 낙점될 가능성이 크다. 대신 문보경이 1루를 맡고, 송성문을 2루로 돌려 김영웅을 유격수 백업으로 활용하는 식의 '내야 맞춤 조합'이 검토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내년 3월 WBC 직전, 부상 회복 중인 김도영(KIA)이 대표팀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 김도영 역시 주 포지션이 3루수로, 복귀 시 내야 구성은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류지현 감독의 고민이 '행복한 딜레마' 수준을 넘어 '복잡한 퍼즐 맞추기'로 번지는 이유다.
노시환은 "3루수들이 모두 너무 잘한다. 각자 장단점이 뚜렷해 배우는 게 많다"라며 "송성문 형은 수비가 정말 안정적이다. 대표팀에 김도영까지 오면 진짜 큰일이다"라며 웃었다. 이어 "나는 어느 포지션이든 괜찮다. 1루, 외야, 포수까지도 팀이 원한다면 준비하겠다"라고 말하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대표팀 내야는 여기에 더해 김하성(애틀랜타), 김혜성, 토미 에드먼(이상 LA 다저스) 등 메이저리그급 자원까지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 내야는 '포화 상태'를 넘어 '초호화 라인업'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결국 류지현 감독의 손끝에서 누가 살아남고, 어떤 조합이 완성될지가 WBC 대표팀의 성패를 가를 가장 큰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오는 체코, 일본과의 평가전은 그 답을 찾기 위한 실험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