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영매체 "韓 제조 선박, 미군작전에 쓰이면 곤란해질 수도"

2025-08-19

한국과 미국이 조선업 분야 협력을 논의 중인 것과 관련, 중국 관영매체가 이는 한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이 미국 방어체계에 편입돼 곤란을 겪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18일(현지시간) 논평을 통해 미 상원의원들이 조선업 협력안 구체화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이 조선업 재활성화에 집중하면서 점점 한국과 일본을 자국 방위산업에 통합시키고 싶어 하는 것 같다"면서 "이는 우선적으로 미국의 전략적·군사적 이익 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복잡한 지정학적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은 어느 정도 미국이 한일을 자국 방어체계로 끌어들이려 하는 전략 전술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이 한일의 기술적 전문지식과 금융투자를 자국의 전략적 군사 목표에 쓰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한국이나 일본 (기업의) 로고가 붙은 선박들이 제3국에 대한 미군 작전에 쓰일 경우 한일이 곤란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 만큼 한일이 이러한 시나리오를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이 시급히 자국 조선업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는 반면, 한일의 경우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인재·기술·자본을 미국 조선업 성장으로 돌리는 것이 반드시 이득이 되지는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 입장에서는 투자·생산 이전으로 국내 생산능력 성장을 없애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첫 한국계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민주·뉴저지)과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상원의원은 18일 이재명 대통령을 접견하는 등 방한 일정을 소화 중이다.

AP통신에 따르면 두 의원은 방한 기간 국내 조선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미 해군의 비전투용 함정 공동 건조 가능성 등을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국은 상호관세 협의 과정에서 미국에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유지·보수·운영(MRO) 등을 포괄하는 조선 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제안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울산종합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