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과학·기술과 소비, 거버넌스 등 분야에 대한 인공지능(AI) 접목을 가속화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 강도를 높이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26일 공개한 'AI 플러스(+) 행동 심화 실시에 관한 의견(이하 '의견')'에서 오는 2027년까지 과학·기술, 산업, 소비, 민생, 거버넌스, 글로벌 협력 등 6대 영역과 AI의 융합을 선도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차세대 스마트 단말기와 스마트 시스템 보급률을 70% 이상으로 확대하고, 2030년 보급률 목표 90%를 거쳐 2035년까지 스마트 경제·사회 발전의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AI 플러스'는 산업·소비·의료·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한다는 정책으로, 지난해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처음 제시됐다.
중국 당국은 '의견'에서 기초 과학 연구 플랫폼과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의 스마트화 수준을 높이고 개방적인 고품질 과학 데이터셋을 구축해 AI를 매개로 학제 간 연구 활성화를 이끌기로 했다.
바이오 제조·양자 과학, 6세대 이동통신(6G) 등 과학·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철학·사회과학 분야의 AI 융합도 가속할 것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AI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철학·사회과학 연구 조직 형태를 탐색하고 인류의 인식·판단·윤리 규범 등에 AI가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을 연구하고, 선(善)의 방향으로 AI 이론 체계를 만드는 길도 모색하기로 했다.
공업·농업·서비스업 등 전 산업에 걸쳐 인지·의사결정 등에서 AI 기술 활용도를 높이고 인재 풀을 넓힌다는 방향도 재확인했다.
아울러 행정 서비스와 사회 치안 관리, 방재 등 거버넌스 분야에서도 AI 활용 폭을 넓히고, AI 오픈소스를 촉진해 컴퓨팅 파워와 데이터, 인재 등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선도하겠다고도 말했다.
'의견'에는 AI 융합 발전을 위한 분야별 지원 계획도 명시됐다.
데이터 재산권·저작권 제도를 손질해 AI 발전을 돕고 공공 재정 보조 프로젝트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합법적으로 AI에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내용과 컴퓨팅 파워, 전력, 데이터 등 자원의 전국 통합 관리, AI 응용 산업 분야의 '실패 용인' 메커니즘 완비 등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전 학교 단계와 전 사회에 걸쳐 AI 교육을 추진하고, 청년과 기업들이 AI 분야에 뛰어들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 AI 분야에 대한 장기 자본 투입이 있어야 한다는 점도 언급됐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