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내년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운영
취약지역 근로자 등에 식비 지원
올해 17개 산단 파일럿 사업 추진

직장인들이 아침·점심을 거르거나 간편식으로 때우는 경우가 많아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농산물 소비와 지역 외식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식량작물 소비 감소와 외식 경기 침체를 유발하는 것이다.
식량소비 감소, 외식 경기 침체 부르는 결식
리서치 업체 조사에 따르면 2023년 30·40대의 아침 결식률은 41.3%였다. 이는 10년 전이었던 2013년의 27.7%에 비해 약 14%p 오른 수치로, 30·40대 10명 중 4명이 아침밥을 거른다는 의미다. 여기에다 최근 물가 상승으로 점심을 간단하게 때우는 직장인도 많아졌다. 점심을 편의점 또는 마트 간편식으로 해결하는 직장인의 비중이 30.2%에 달하는 걸로 조사됐다. 직장인의 영양관리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은 인구감소지역이나 지방 산업단지에 위치한 중소기업에서 더욱 열악하다. 대기업은 대개 구내식당을 운영해 근로자에게 양질의 식사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10곳 중 7곳(73.1%)이 비용 등의 문제로 구내식당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근로자는 상대적으로 소득도 낮아 외식으로 점심을 해결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
이처럼 끼니를 거르거나 간단히 때우는 직장인의 증가는 국내 농가나 자영업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직장인의 아침밥 섭취 감소는 국내 식량작물 소비의 감소로 이어진다. 실제 한국농촌연구경제원은 국민의 아침 식사 거르는 식습관을 쌀 소비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직장인이 점심 외식 소비를 줄이는 행태는 외식 경기 침체도 유발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보통사람 금융 보고서 2024’에 따르면 직장인의 68.6%가 점심 외식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끼니당 4000원의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는 72.76이었다. 2023년 2분기 이후 계속 80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2022년 하반기부터 하락 흐름인 것으로 파악됐다.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란 외식업에 종사하는 사업자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경기를 수치로 환산한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외식업 침체의 원인 중 하나로 직장인이 점심 외식 소비를 줄이는 것을 꼽는다.

효과성 분석해 본사업 전환 검토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6년부터 3년간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직장인의 건강을 챙기고 농산물 및 외식 산업에 신규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및 지방 산업단지(산단)와 같은 취약지역에 있는 중소기업의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아침밥과 점심밥 중 한 끼를 지원하는 이 사업을 통해 국내산 농산물과 외식 소비를 늘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아침밥의 경우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해 만족도가 높은 기존의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산단까지 확대한다. 산단 근로자들에게 쌀, 우리 밀, 국산 콩을 활용한 아침밥을 1000원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끼니당 국비는 2000원을 지원하며 추가 소요 비용은 지자체 또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부담한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17개 산단을 대상으로 파일럿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점심밥은 중소기업 근로자가 점심시간(오전 11시~오후 3시)에 외식업체에서 결제하는 금액의 20%를 할인 지원한다. 월 할인 한도는 4만원이며, 기업 여건에 따라 카드사 또는 디지털 식권업체 등을 선택해 받을 수 있도록 사업을 설계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6년 ‘산단 근로자 천원의 아침밥’ 사업에 19억원, ‘직장인 든든한 점심밥’ 사업에 60억원 등 총 79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3년간의 시범 사업 추진 후 효과성 분석 및 현장 반응 등을 고려해 본사업 전환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다만 정부가 직장인에게 점심값을 지원하는 것이 적절한지, 정부의 식비 지원으로 물가가 상승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현재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사업 구조를 살펴보면 ‘직장인 든든한 점심값’ 사업이 모든 직장인 대상이 아닌, 여건이 열악한 인구감소지역과 지방 산단에 먼저 지원하는 선별적 먹거리 지원사업이라고 강조한다. 먹거리 돌봄 사업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계층을 돌보자는 취지다.
정부 지원으로 인한 물가 상승 가능성도 작다. ‘직장인 든든한 점심밥’ 사업의 대상은 연간 5만 명으로, 전체 중소기업 근로자의 0.6%에 불과하다. 시범 사업으로 규모가 작아 외식 물가의 즉각적인 상승을 유발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물가에 대한 우려를 예방하기 위해 지자체와 협력해 점심 외식 물가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며 “나아가 지자체와 외식업체 간 협약 체결 등을 통해 외식업체가 점심 가격을 인하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