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원자력 협력 박차… SMR 등 민간협력 탄력 더한다

2025-08-27

한미 양국이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원자력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자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만큼 향후 협력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외교부는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이 27일 제임스 댄리 미국 에너지부 부장관과 ‘한미 원자력 협력 차관 협의’를 갖고 양국 간 원자력 협력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댄리 부장관은 이날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너지장관회의 참석차 방한 중이다.

양측은 지난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원자력 협력과 관련해 의미있는 논의를 한 만큼 한미 원자력 파트너십이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심화할 수 있도록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 차관은 원자력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을 심화함으로써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데 기여해 나가자고 밝혔다. 댄리 부장관도 한미 간 원자력 협력을 지속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관련기사

  • 조선·원전 등 파트너십 강화…현대차, 美에 첫 로봇공장 짓는다
  • 두산에너빌리티, 아마존·엑스에너지 등 美 기업과 원전 협력 확대
  • 한·미 경제 거물들 만났다…"조선·원전 1500억 달러 대미 투자"
  • 빌 게이츠 SMR 꺼내자…李 “우리가 강자”

양국은 APEC 회의를 계기로 한미 원자력 협력 차관 협의를 갖기로 일찌감치 일정을 정해둔 상황이었다. 마침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자력 협력도 의제에 포함되면서 자연스럽게 정상회담 후속 논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정상회담 직후 브리핑에서 “원자력 협력 문제에 대해 정상 간에 의미 있는 논의가 있었고, 앞으로 추가적인 협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양측은 이번 정상 방미를 계기로 양국 원전 기업간 양해각서(MOU)가 체결되는 등 SMR 분야의 협력히 활발해진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민간 협력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양국 정부 차원에서도 긴밀히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두산에너빌리티와 미국 엑스에너지·아마존웹서비스는 SMR 설계·건설·운영·공급망 구축·투자 및 시장 확대 협력에 관한 4자간 MOU를 맺었다. 이와 별도로 한수원은 미국 우라늄 농축 공급사인 센트러스의 우라늄 농축 설비 구축 투자에 공동 참여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고, 두산에너빌리티도 미국 민간 에너지 개발사업자인 페르미 아메리카와 텍사스 주의 'AI 캠퍼스 프로젝트'에 공급할 대형 원전과 SMR 기자재 관련 포괄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MOU를 주고 받았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