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건설현장의 ‘인력 공백’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임금 경쟁력, 현장 규모 등 지역적 불리함이 겹치며 근로자들이 수도권·광역 대형 현장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한층 강해진 것이다.
특히 외국인 인력 감소가 공정 운영을 흔들며 현장의 유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우려는 통계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건설근로자공제회가 18일 발표한 ‘2025년 8월 퇴직공제 피공제자 동향’에 따르면 전북의 피공제자 수는 1만9천53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천356명(-18.2%) 감소했다.
감소율만 보면 전국 평균(-18.0%)과 비슷해 겉으로는 중간권처럼 보이지만, 내부 구조를 들여다보면 양상은 다르다.
내국인 피공제자는 3천962명(-18.1%) 줄었고, 외국인은 이보다 더 큰 폭인 394명(-19.7%) 감소했다.
전국 평균 외국인 감소율(-11.8%)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대구(-45.0%)·경남(-27.5%)·광주(-23.8%)에 이어 네 번째로 높다.
전국 대부분 지역은 내국인 감소율이 더 큰데, 전북은 외국인이 더 빨리 빠져나간 몇 안 되는 지역이다.
골조·철근·타설 등 외국인 의존도가 높은 공정부터 인력 공백이 먼저 나타나고 있어 업계는 이를 실질적 인력난의 전조로 보고 있다.
전북의 외국인 감소가 유독 큰 이유로는 △수도권 대비 낮은 임금 △중소형 현장 중심의 지역 구조 △주거·교통 등 비임금 조건의 열세가 지목된다.
지방권 외국인 근로자일수록 조건이 비슷하면 더 많이 주는 곳을 선호해, 전북에서 수도권·광역시로 이동하는 흐름이 더 빨라진 것이다.
이 때문에 외국인 비중 감소는 미미하지만 현장의 체감 인력난은 훨씬 크게 나타나는 왜곡이 발생한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업계는 이러한 구조가 향후 전북 건설경기 회복 속도를 늦출 가능성을 우려한다. 외국인 비중이 높은 공정에서 인력 확보가 어려워지면 공사 지연과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내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예년 같지 않게 외국인 인력을 구하기가 훨씬 어려워졌다”며, “경기가 반등해도 투입할 사람이 없다면 전북의 회복 속도는 전국 대비 더디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양병웅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역대 최대’라던 공공주택 인허가, 실제 공급률은 70% 그칠 듯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FBZLC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