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3일 김정관, 트럼프도 "까다로운 협상가" 칭찬

2025-10-29

한미 관세협상이 7월 30일 구두 합의 이후 92일만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극적으로 타결됐다. 이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의 협상력을 공개적으로 인정해 눈길을 끌었다.

29일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제(APEC) CEO 서밋 연설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훌륭한 분이자 아주 까다로운 협상가"라며 "조금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만났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객석에서는 웃음이 터져나왔다.

협상 관련 책의 저자이자 오랜 기간 기업가로 활동 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상대국 실무자를 공개적으로 칭찬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모두 협상을 잘했다"면서 "탁월한 협상가들이 만들어낸 성과"라고 자국 실무진에게도 공을 돌렸다.

지난 7월 21일 취임한 김 장관은 취임 103일 만에 한미 관세 협상 최종 타결을 이끌었다. 산업부 내에서는 "취임 100일이 아니라 협상 100일이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협상 전반에서 큰 역할을 했다.

이번 합의로 미국의 대(對)한국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지게 됐다. 한국은 3500억달러 중 2000억달러를 현금으로, 나머지 1500억달러는 조선·에너지 협력 프로젝트에 분할 투자한다. 연간 투자 한도는 200억달러로 설정해 외환 시장 충격을 최소화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7월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관세협상 구두합의를 이끌어내기 전부터 역할극을 벌이며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대통령과 어떻게 대화할지 연구했다고 한다. 김 장관은 당시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처럼 말하려 노력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말투는 매우 간결하고 직설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또 당시 협상에서 미국 측이 한국에 30개월 이상 된 소고기 제품 수입 제한을 해제하라고 압박했으나 과거 한국에서 벌어진 광우병 대규모 시위 사진을 보여주며 이런 요구를 철회시켰다는 일화도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