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당뇨 부른 달콤한 함정…제로가 ‘제로’는 아니었다

2025-09-05

윤영호의 즐거운 건강

‘콜라 사랑꾼’이란 별명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콜라 제조에 고과당 옥수수 시럽 대신에 사탕수수 설탕을 쓰도록 요구하면서 콜라와 같은 첨가당 음료가 논쟁이 되었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 가당 음료의 소비가 비만·당뇨·심혈관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을 증가시키는 주범이라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가 1일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하루 50g)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장한다. 콜라 500? 한 병만 마셔도 권장량을 초과한다. 건강을 위해서는 5% 미만(하루 25g)으로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가 유행하면서 단맛을 즐기면서도 건강한 식품을 찾다 보니 가당 음료나 식품보다는 인공 감미료가 들어가 있는 ‘제로(zero)’ 음료나 식품이 유행이다. 그러나 제로(0)가 제로가 아니다. 설탕 대신 어김없이 감미료가 숨어있다. 인공 감미료는 설탕의 200~600배 단맛을 가지는 아세설팜칼륨·수크랄로스·아스파탐·사카린·스테비아 등이 대표적이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제로 음료 시장만 하더라도 2018년(1630억원)에 비해 2023년(1조2780억원) 7.8배 성장했다. 2025년 1월, 전체 탄산음료 시장에서 제로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한다.

국내 제로음료 시장 5년 새 7.8배 성장

가당 음료에 비해 인공 감미료 음료는 안전한가? 과연 인공 감미료를 먹어도 괜찮을까?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했다. 다만 기존 1일 섭취 허용량(40㎎/㎏/1일) 내 섭취는 안전하다고 했다. 제로 음료 12~36캔까지 마셔도 허용량 이내다. 인공 감미료 무설탕이고 열량이 낮아 건강한 선택으로 간주하지만 세계보건기구는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최근 연구 결과들은 어떨까? 논란을 잠재울 만큼 주목할 만한 3개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먼저 2022년 세계보건기구가 실시한 인공 감미료 음료의 건강 영향에 대해 종합 분석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체중이 감소했지만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방광암, 사망률의 장기적인 위험은 증가했다. 두 번째, 219만6503명의 참가자의 평균 28.9년 추적 동안 23만5609명 사망이 발생해 종합 분석 결과, 감미료 음료 섭취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13%,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26% 증가했다. 세 번째, 지난 5월 발표된 40세에서 69세 사이의 3만6608명을 대상으로 한 호주의 장기 추적 관찰 연구에서 가당 음료 섭취에 대한 제2형 당뇨병 위험이 23% 증가했고, 감미료 음료는 83% 증가했다. 비만도를 고려한 분석에서 감미료 음료 섭취는 여전히 당뇨병 위험 증가(38%)와 관련이 있었다.

그동안 인공 감미료가 당뇨나 심혈관질환을 어떻게 일으키는지가 명확하지 않았는데 그 메커니즘이 속속 밝혀지기 시작했다. 인공 감미료를 습관적으로 섭취하면 장내 세균의 불균형을 일으키고 장에서 포도당의 흡수에 영향을 미쳐 혈당 항상성이 악화한다. 또한, 인공 감미료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의 분비를 낮추고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혈당을 높인다. 지난 5월 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발표된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차오 연구팀이 생쥐에게 아스파탐을 먹인 결과, 먹지 않은 생쥐에 비해 인슐린과 염증 인자 수치가 상승하고 동맥에 더 많은 지방 플라크가 생기는 걸 확인했다. 미국 피츠버그대 크리스턴 모더 연구팀이 ‘미국암연구학회지’에 지난 7월에 발표한 연구에서 체중 1㎏당 수크랄로스를 권장량(5㎎/㎏/1일)의 3%인 하루 0.16㎎ 이상 먹으면 암 치료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게 먹을 경우 암이 재발하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6개월을 더 길게 유지했다. 연구진은 수크랄로스가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줘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 기능을 떨어뜨린다고 설명했다.

29년간 섭취자들 추적 결과, 사망률 13%↑

연구 결과들을 정리해 보면 인공 감미료가 가당 음료의 ‘덜 해로운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본다. 건강을 위해 선택한 제로 음료 역시 당뇨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그렇다고 비만·당뇨병·충치·암 등의 위험이 있어서 가당 식품으로 다시 전환하는 것은 좋지 않다. 첨가당이나 감미료가 없는 커피·차, 생수를 마시는 것이 좋다. 커피는 사망 위험이 26% 낮아지고 물은 23%, 차는 21%, 저지방 우유는 4% 사망 위험을 낮춘다. 인공 감미료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정확한 정보가 더 나오기 전까지는 조심하는 것이 현명하다.

윤영호 서울의대 교수. 서울대 건강문화사업단장. 서울의대 교수이자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 전문의이다. ‘연명의료결정법’ 법제화에 앞장서기도 했다. 『삶이 의미를 잃기 전에』 『나는 품위 있게 죽고 싶다』 『습관이 건강을 만든다』 『명품건강법』 등 다수의 저작도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