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이 반도체 제조 강국을 넘어 인공지능(AI) 중심국으로 도약을 꿈꾼다. 세계 최대 반도체 설계 기업이자 AI 선도 기업인 엔비디아가 대만에 연구개발(R&D) 기지를 구축하기로 했다. 미국 본사에 있는 반도체 설계 기능을 대만에도 두겠다는 것으로, 전 세계 AI 산업에서 차지하는 대만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은 다시 메모리 반도체에 국한될 가능성이 커졌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타이베이시 인근 베이터우스린 과학단지에 새로운 오피스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지난해 컴퓨텍스에서 “향후 5년 내 대만에 대규모 연구개발(R&D)·디자인 센터를 건립해 1000여명의 엔지니어를 고용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는데, 이번에 지역을 확정한 것이다.
그는 새로운 거점이 들어설 지역을 “'엔비디아 별자리(constellation)'라고 이름 지었으며, (신사옥은) 지금까지 만든 제품 중 가장 큰 제품이 될 것”이라며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임을 예고했다.
엔비디아가 미국 외 지역에 회사의 핵심인 반도체 설계 기능을 두는 건 처음이다. 젠슨 황 CEO는 대만에 투자하는 이유와 규모, 향후 계획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엔비디아 반도체 제조를 전담하고 있는 TSMC가 대만에 있고, 패키징은 몰론 AI 반도체 구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과 서버 등 AI 컴퓨팅 인프라들이 대만을 중심으로 형성돼 미래 시장 선도와 시너지 도모를 위해 대만을 낙점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장에는 에이수스, 미디어텍, 폭스콘 등 엔비디아와 협력하고 있는 공급망 업체들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는데, 황 CEO는 엔비디아의 성장에는 대만 공급망의 역할이 컸다며 수 차례 언급했다.
황 CEO는 “대만이 최첨단 산업 중심지, 로봇 분야에서 AI가 탄생할 진원지이며 이는 대만에게 엄청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전자제품 제조 지역인 이곳에 AI와 로봇 공학이 발전하면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일환에서 대만에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폭스콘,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TSMC와 함께 대만 최초 AI 슈퍼컴퓨터를 만들어 학생, 연구자, 기업 등이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다.
AI 반도체 1위인 엔비디아가 대만을 핵심 파트너로 선택함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메모리를 넘어 파운드리와 시스템 반도체 육성에 공들여왔는데 이 분야에서 앞서 있는 미국과 대만이 더 긴밀한 협력 관계로 벽을 공고히 하고 있다.
한편, 엔비디아는 이날 AI의 개인화를 앞당기기 위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DGX 스테이션',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처리장치(CPU)를 거치지 않고 그래픽처리장치(GPU)끼리 바로 데이터를 교환해 거대한 가상 GPU로 확장할 수 있는 'NV링크' 솔루션 등을 공개했다.
타이베이(대만)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