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업계 난제 중 하나가 가축분뇨 처리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이 가축분뇨를 ‘처리해야 할 폐기물’이 아닌 ‘활용해야 할 자원’으로 탈바꿈시켜왔다. 올해로 창립 열돌을 맞은 축산환경관리원의 그간 성과와 향후 업무 추진계획을 2회에 걸쳐 짚는다.
“우리나라에서 한해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양은 2023년 기준 5087만1000t에 달합니다. 무게가 1만t인 에펠탑 5000개를 합쳐놓은 것과 비슷하죠.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은 ‘가축분뇨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친환경적인 가축 사육환경 조성과 가축분뇨 자원화 이용 촉진을 목적으로 2015년 5월8일 대전에서 출범했다. 2019년 세종으로 이전해 조직 기반을 확대했고, 2020년 2월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이어 2021년 축산환경시험분석센터를 개소하고 비료시험 연구기관, 수질측정 대행업체로 인정받았다. 올 3월엔 호남 지역사무소를 신설해 지역 중심 서비스를 강화했다. 업무 외연도 확장됐다. 2021년 축산환경 개선 전담기관, 2024년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기관으로 잇따라 지정됐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축산을 바라보는 부정적 인식을 바꾸고자 가축분뇨 처리, 악취 저감, 축산농가 환경 개선,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추진해왔다. 최근엔 가축분뇨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제도를 개선하는 데 앞장섰다. 가축분뇨의 85%가량은 퇴액비로 만들어져 농경지에 뿌려지는데, 경지면적이 갈수록 줄면서 처리하기가 곤란해졌다. 이뿐만 아니라 액비는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이용 촉진에 관한 규칙’에 따라 작물을 심기 전 ‘밑거름’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됐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환경부·농식품부·농촌진흥청·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회를 구성해 2022년 10월 제도 개선을 끌어냈다. 이에 따라 시설원예·과수를 비롯한 다양한 농가에서 액비를 ‘웃거름’으로도 쓸 수 있게 했다. 또한 사료 원료의 80% 이상이 수입에 의존한다는 점에 착안, 가축분뇨로 만든 퇴비를 수출할 기반을 닦았다. 이를 위해 지난해 6월 베트남 국가비료검증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축산농가 환경개선에도 나서 지난해 기준 ‘깨끗한 축산농장’ 인증 농가수는 전국 7429곳, ‘환경친화축산농장’은 27곳에 달했다.
이런 가운데 축산환경관리원은 8일 세종 본원 대회의실에서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전 임직원 60여명이 참석한 행사에서는 10년간의 역사를 담은 발간물과 각종 연구보고서, 직원이 조직 발전을 기원하며 쓴 편지 등을 타임캡슐에 봉입했다. 타임캡슐은 10년 뒤인 2035년 5월8일에 개봉할 예정이다.
문홍길 원장은 “가축분뇨 자원화에 박차를 가해 축산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안전하고 신선한 축산물을 국민에게 제공하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미쁨 기자 already@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