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직원들, 수백만마리 러브버그 ‘잠자리채’로 잡는 이유

2025-07-04

4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계 기관 직원들이 인천 계양산에 올라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 방제작업을 했다. 추락방지난간을 새까맣게 만들 정도로 러브버그 천지였다. 하지만 이들 손에는 빗자루와 잠자리채 모양의 포충망이 들려 있다. 살충제를 쓴다면 러브버그를 바로 퇴치할 수 있다. 이들은 살충제 대신 바람(송풍기)과 물(살수장비)을 썼다. 환경부 관계자는 “살충제가 자연에 어떤 악영향을 줄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쓸 수 없다”며 “국민 불편은 너무 알지만 화학적 퇴치는 환경적 측면에서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러브버그가 앞으로도 일어난 곤충 대발생 대응을 어떻게 할지 정부의 고민을 깊게 한다. 러브버그는 외래종이지만,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위해하는 종이 아니다.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려 국민 불편이 크지만, 환경단체 입장에서는 살충제를 통한 박멸 등 강제적 퇴지를 반대할 수밖에 없다.

이날 환경부는 러브버그를 비롯해 4개 종이 올해 대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4종은 대벌레, 동양하루살이, 미국선녀벌레, 깔따구다. 과거 한차례 이상 대발생이 일어났다. 최근 기승을 부리는 러브버그는 2022년부터 대발생 양상을 보여왔다.

환경부가 다른 부처처럼 이 문제를 해결한다면, 러브버그 퇴치는 손쉽다. 국회와 곤충 대발생의 정의와 이 상황의 대응방안을 관련 법에 넣고 인력과 장비를 투입해 퇴치에 나서면 된다. 하지만 환경부는 러브버그가 병을 옮기는 등 병해충이 아니라는 환경단체의 주장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이런 배경 탓에 국회에서도 곤충 대발생에 관한 의원 입법이 1건도 없다.

최근 러브버그에 대한 여론 추이도 환경부 입장에서 고민스러운 지점이다. 계양구청장은 2일 환경단체 주장대로 러브버그 박멸에 사실상 반대하는 발언을 한 사실이 일반에 알려져 곤욕을 치렀다. 환경부 관계자는 “대발생하는 곤충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더는 게 환경부의 일”이라며 “주말도 방제작업을 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현장에 퇴치장비를 도입할 수 있는 지원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