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소윤 기자]올해 건설사들의 분양 일정에 제동이 걸렸다. 상반기에는 대선 등 정치 일정으로 분양 시점을 미루는 사례가 많았고, 하반기 들어서는 새 정부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가 본격화하며 공급 시점을 신중히 저울질하는 분위기다.

18일 미디어펜의 취재 결과, 주요 건설사들의 하반기 분양 계획을 일부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선 현대건설은 하반기 분양 계획을 일부 조정했다. 당초 전국 19개 사업장에서 약 1만60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조합 물량을 포함해 1만4452가구만 분양키로 했다. 연초 대비 2곳의 사업장 일정이 미뤄진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공급은 17개 사업장, 1만4452가구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 가운데 일반분양은 7603가구, 오피스텔 등은 2442실이다.
GS건설도 하반기 분양 일정을 계획보다 늦춘다. 연초 계획에서는 '역삼 은하수 재건축'(1분기 분양 예정)과 '아산 동산리 A2·A3블록', '광명 12구역' 등 사업장 분양이 상반기에 몰려 있었으나, 모두 일정이 지연됐다. '역삼 은하수 재건축'은 4분기로, '광명 12구역'과 '안양 상록'은 8~9월로, '노량진 6구역'은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됐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분양을 모두 하반기로 집중시켰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서울과 수도권 등에 총 4개, 사업장, 4373가구를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노량진2구역 분양을 내년으로 변경했다. SK에코플랜트의 올해 물량 중 노량진6구역은 GS건설과 공동으로 시공하는 현장이다.
DL이앤씨도 상반기 공급 예정이었던 주요 사업장 공급을 하반기 이후로 조정했다. 연초에는 총 10개 사업장에서 4889가구를 일반분양분으로 시장에 풀 계획이었지만, 조정에 따라 전국 9개 사업장에서 총 4474가구를 분양하기로 했다. 다만 연초 계획에 없던 사업지 세 곳의 공급은 추가돼 오피스텔 포함 1132가구가 새롭게 포함됐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일정을 조율하는 배경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정치적, 정책적 영향이 자리하고 있다”며 “상반기에는 대통령 선거 여파로 적극적인 공급에 나서지 못했고, 하반기에는 새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시장의 변수로 떠오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규제지역 내에서 취급하는 주택구입목적 주담대의 최대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수도권·규제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추가 주택구입 목적의 주담대를 금지하는 내용의 규제 방안을 발표·시행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강도 높은 추가 규제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정부는 집값 안정이 이뤄지지 않거나 대출 규제 효과가 제한적일 경우 추가적인 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 △LTV 비율 추가 축소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확대 적용 △정책모기지에 대한 규제 강화 △은행권 주담대에 대한 자본건전성 규제 강화 등이 거론된다.
반면 일부 건설사는 이미 지난해부터 일정이 지연된 사업장이 많아 연초 설정한 분양 물량을 계획대로 공급할 계획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물량 대부분을 예정대로 소화한다. 이미 상반기 전주 기지촌, 고양 원당1구역 등 전체 목표의 약 42.7% 물량 공급을 마쳤다. 하반기에는 분당 무지개마을 4단지, 느티마을 3·4단지 리모델링 사업 등을 추진한다.
롯데건설 역시 연간 1만2000가구 분양 목표를 유지키로 했다. 상반기 대전 가오2구역과 김포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지구 등에서 공급을 완료했고 하반기 다수의 사업장에서도 분양 채비를 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분양 일정의 경우 원래 변동이 크나, 주담대 규제 등으로 분양시기를 더 신중히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