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을 포함한 전국 22개 지역 시내·외 버스 노동조합(버스 노조)이 일단 사측과 교섭에 집중하기로 했다. 다만 교섭 불발 시 파업 시점으로 28일을 제시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8일 서울 양재동에서 전국 대표자 회의를 열고 결의사항을 발표했다. 결의사항문에 따르면, 버스 노조는 오는 12일 지역별로 동시에 각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한다.
서종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은 “연맹 산하 각 지역 노조는 15일간의 조정 기간 최선을 다해 교섭에 임할 것”이라며 “합의 가능한 안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전국자동차노련 “조정 기간 교섭”

이에 따라 서울시버스노동조합(서울버스노조)는 27일 자정까지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교섭에 나설 계획이다. 다만 서울시의 경우 노조원 찬반 투표에서 파업을 가결했고 조정 절차도 이미 거친 만큼, 12일 추가로 조정을 신청하지는 않는다.
또한 7일부터 지속하고 있는 '안전운행'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서울버스노조는 이와 같은 방식의 준법투쟁이 태업이 아니라 ‘안전운행’이라고 주장하며 이와 같은 방식의 투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버스노조는 8일 대국민 호소문에서 “‘준법운행’은 단순히 속도를 줄이는 운행이 아니라 도로교통법과 서울시의 안전지침을 준수하며, 승객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에 두겠다는 약속”이라며 “도로교통법과 서울시의 운행실태점검 지침에 따라 철저한 준법 안전운행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버스노조는 서울시의 ‘정시성 지침’도 비판했다. 정시성 지침은 예정된 배차 간격과 도착 시각에 얼마나 잘 맞춰 운행되는지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서울시의 버스 관리 시스템이다. 서울버스노조 관계자는 “마치 지하철처럼 버스에 정해진 간격 운행을 강제하고 간격이 벌어지면 평가에서 감점을 주는 서울시의 ‘정시성 지침’이 버스 기사의 징계나 임금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버스노조는 “갓길 버스전용차로는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정차가 엄격히 금지된 구역”이라며 “이 규정이 현실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버스 운행이 방해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7일 버스 운행률 98%”

한편, 서울시는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준법투쟁을 재개한 7일 버스 운행률이 98%대를 유지하면서 혼란은 없었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7일 버스 운행 횟수는 4만1941회로 인가운행 횟수(4만2459회)보다 518회 줄었다. 지난달 30일 서울버스노조의 첫 준법운행 당일 운행률은 97.3%를 기록했었다.
서울시는 “연휴 직후인 7일 출근길 혼잡을 우려했지만, 시민과 버스 업계의 협조 덕분에 지난달 30일 대비 버스 이용 환경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7일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평균 버스 운행 속도는 지난달 30일과 비교해 1.5% 빨라졌다.
서울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배차 간격 지연이나 비정상적 정류소 정차 등 이상 운행 건수(82건)도 지난달 30일(90건)보다 감소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명동·강남·홍대입구 등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공무원을 배치해 현장을 점검한 결과, 의도적 장시간 정차 행위는 발견되지는 않았고 버스 통행도 큰 혼란 없었다”며 “서울버스노조가 준법투쟁을 지속하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응체계를 계속 가동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