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유통업계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유통산업 발전의 비전을 담아 글로벌 기업인 선언을 진행했다. 경주선언은 △인공지능(AI) 전환 △친환경 △표준협력을 3대 축으로 선정됐다.
한국의 롯데쇼핑(023530)·GS리테일(007070)·쿠팡·현대백화점(069960)과 미국 아마존, 중국 징둥닷컴 등은 28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APEC 퓨처테크포럼 유통’을 개최하고 유통산업의 발전 비전을 담은 경주선언을 채택했다.
이번 행사는 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로 ‘글로벌 유통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주제로 정부·기업·학계 등 국내외 인사 300여 명이 참석했다.
경주선언은 유통산업의 혁신이 시민생활 향상 및 경제 발전을 선도한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혁신 비즈니스 모델의 공유 및 네트워킹 강화 등을 통해 유통산업 발전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순환경제 구축, 탄소중립 실현 등 환경 친화적 과제의 실천을 통해 지속가능한 유통산업 기반 구축 노력과 상생의 유통 생태계 구축 노력 등도 포함됐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APEC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0%, 교역량의 50%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라며 “이번 포럼에서 채택된 경주선언은 APEC CEO 서밋의 비전을 구현하는 것으로 잘 실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승철 산업통상부 산업기반실장은 “AI와 디지털 전환이 유통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에 이번 포럼은 혁신의 방향과 글로벌 협력의 토대를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산업부도 유통산업의 디지털 전환 기반 마련 및 지속가능한 유통 생태계 구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조연설에 나선 데이비드 벨 박사는 AI와 데이터가 유통의 지형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주목했다. 그는 “온라인 쇼핑이 대세임에도 소비는 여전히 ‘공간’에서 완성된다”며 “미래의 매장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공간’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시대의 승자는 데이터, 개인화·맞춤화 그리고 경험에 집중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를 이해하는 데이터 감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마케팅과 전자상거래 연구 분야의 선구자이며 기업 컨설팅과 투자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주목받고 있는 글로벌 유통학계의 거목이다.
이번 포럼의 2부 행사인 ‘글로벌 혁신토론회’에서는 글로벌 유통 대표기업들의 AI·글로벌화·ESG에 대한 혁신사례를 공유했다. 김호민 아마존 아태지역 부문장은 “AI는 효율을 넘어 경험을 재정의하는 기술”이라며 “AI 쇼핑을 이용한 소비자의 92%가 편의성과 만족도의 변화를 체감했다”고 말했다.
박경도 한국유통학회장은 “이번 포럼은 단순한 산업행사를 넘어 글로벌 유통기업들의 혁신 동향과 미래, 협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로 AI, 글로벌화, ESG 등의 화두는 한국 유통산업의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