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원자력 발전으로 속속 회귀...벨기에·리투아니아 동참

2025-08-21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하려는 유럽 국가들이 늘고 있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21일 벨기에와 리투아니아가 원자력 발전소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리투아니아 정부는 지난달 초 에너지부에 원자력 발전의 경제성이나 기술 가능성을 검토하는 별도 조직을 신설, 28년까지 원전 재도입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리투아니아는 과거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과 동형의 원자로를 사용, 총 발전량의 70%를 원전에 의존해왔다. 유럽연합(EU) 가입 조건으로 원전 폐지를 요구받은 것을 계기로 2009년 원전 가동을 중단했다.

벨기에 정부는 5월 연방의회가 원전 신설을 허용하는 법안을 가결함에 따라 22년만에 탈원전 정책을 철폐했다. 알렉산더르 더 크로 총리는 2003년에 제정한 탈원전법이 "시대에 뒤떨어진다"고 비판했다.

체르노빌 사고 이후인 1980년대 탈원전을 결정했던 이탈리아와 덴마크도 탈 원전 정책의 철회에 나서고 있다. 이탈리아 내각은 2월 원자력 발전 부활 법안을 의결했다.

폴란드는 내년 이 나라 최초로 원자로를 착공한다.

루마니아와 스웨덴, 에스토니아 등은 기존 대형 원자로와 비교해 건설 기간이 짧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탈원전의 대표국이었던 독일도 원전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메르츠 총리는 5월, EU가 원자력 발전을 재생 에너지와 같은 '저탄소 에너지'로 간주해 보조금과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을 용인했다. 다만 자국 내 원전 부활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원전 연료인 우라늄의 농축 능력은 러시아가 40%를 차지한다. 신문은 영국의 우렌코나 프랑스의 오라노 등 역내 우라늄 농축 기업이 러시아에 의존하지 않는 연료 공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가 과제라고 진단했다.

EU의 작년 총 발전량에서 재생 에너지는 47%의 비중을 차지했다.

해당 비중이 71%에 달한 포르투갈과 56%인 스페인에서는 송전 설비 등의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해 지난 4월 대규모 정전 사태를 빚기도 했다. 이는 유럽 각국이 탈원전 정책을 재고하는 계기가 됐다.

지난 6월에는 세계은행 이사회가 원전 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금지했던 조치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제휴하여 SMR을 포함한 원전의 신설, 기존 원전의 운전기간 연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kongsikpar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