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서울=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이홍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산 구리 제품에 대한 50% 관세가 8월 1일부터 시작된다고 현지시간 9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국가안보 평가를 받은 뒤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 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 방어 시스템, 그리고 우리가 많이 생산하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도 필수적"이라면서 "구리는 국방부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소재"라고 적었다.
구리 산업이 국가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그만큼 상당하기에 수입산 구리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구리는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이다.
미국은 사용하는 구리의 거의 절반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 지질조사국(USGS) 자료에 따르면 이 중 대부분은 칠레에서 들여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말 국가안보를 이유로 구리 수입에 대한 새로운 관세 도입 가능성을 조사할 것을 지시한 바 있으며, 전날 "구리 관세율을 50%로 책정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한 데 이어 이날 그 시행 일정을 확정했다.
이번주 글로벌 구리 선물 시장은 트럼프의 50% 관세 부과 방침 발표 이후 격하게 요동치고 있다. 미국 뉴욕 선물시장의 구리 시세가 치솟은 가운데 영국 런던 거래소 가격과의 격차는 역대 최대치로 벌어졌다.
9일 골드만삭스의 기초 금속 상품 분석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COMEX)와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선물 시세 격차는 톤당 약 3000달러를 나타냈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 격차다.
최근 미국 상품거래소 내 구리 가격 급등에도 불구, 일부 투자은행들은 "50% 관세율이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만큼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판단했다.
전날 COMEX에서 구리 선물가격은 장중 한때 17% 급등, 최고치인 파운드당 5.8955달러를 나타냈다.
선물 시장 투자자들과 구리 업계는 지난 2월부터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해 왔지만 '관세율 50%'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시나리오로 상정했었다. 그런만큼 시장의 충격도 크다.
☞ 구리시장, 트럼프 쇼크에 '기능부전'…뉴욕·런던 격차 최대
한편 트럼프의 이번 구리 관세 발표는 중국의 구리 재고 급감과 미국의 재고 급증이라는 상반된 시장 상황 속에서 나온 것이다. 무역협상 중인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시기적 선택이라는 분석도 뒤따른다.
상하이선물거래소(SHFE)에서 구리 재고는 올해 4월에만 60% 급감해 8만9307톤으로 떨어졌는데 이는 SHFE 역사상 가장 가파른 감소율로 보고됐다.
반면 미국 COMEX 재고는 5월 초순 당시 15만6623톤으로 3월 대비 무려 61%나 증가해 2018년 10월 이후 최대 규모에 달했다.
구리는 중국 경제의 핵심과도 같기 때문에 재고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의 가격 급등은 경제에 큰 압박이 될 가능성이 있다.
☞ 트럼프 "구리 50% 관세" 지금 왜? 중국 재고 바닥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