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암호화폐 해킹, G7 정상회의서 의제로 다룰 수도"

2025-05-08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이 내달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과 암호화폐 해킹을 주요 의제로 다룰 수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7 정상회의는 오는 6월 16~17일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린다.

소식통들은 북한이 악성 사이버 활동과 암호화폐 해킹을 통해 조달한 자금이 무기 개발과 정권 운영의 핵심 재원이 되고 있다면서,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 미국과 무역 갈등 등과 함께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귀띔했다.

북한의 사이버 위협은 최근 러시아와의 관계 밀착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으며, G7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소식은 북한의 사이버 활동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블룸버그는 진단했다.

올해 초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빗(Bybit)'에서 단일 해킹으로 무려 15억 달러 상당의 자산이 탈취된 사건이 있었으며,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는 북한 연계 해커들이 지난해 한 해 동안 47건의 공격을 통해 13억4000만 달러 규모를 빼돌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2023년 20건의 해킹을 통해 탈취한 6억6100만 달러의 약 두 배 규모다.

더 큰 문제는 북한이 해외에 수천 명의 정보통신(IT) 인력을 파견해 허위 신원으로 취직하게 한 뒤, 그 수익을 북한 정권으로 송금하고 있단 점이다.

이달 초 미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은 북한 해커가 자사의 엔지니어링 직무 채용에 지원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알렸다.

올해 1월 미국 국방부는 "이러한 (북한의) IT 근로자 한 명이 연간 최대 30만 달러를 벌 수 있으며, 연간 수억 달러가 국방성 등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과 직접 관련이 있는 당국 및 기관들로 유입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wonjc6@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