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프스 서드 미 남동부 공략
리전스 파이낸셜 '스위트스팟'
자이온스·코메리카 성장 탄력
이 기사는 8월 25일 오후 2시5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오는 9월17일(현지시각)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월가가 특히 관심을 갖는 지역은행 중 하나로 피프스 서드 뱅코프(FITB)가 꼽힌다.
미국 오하이오 주에 본사를 두고 1만8000여명의 직원을 둔 은행은 피프스 서드 파이낸셜과 라이즈 머니 등 다수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기업금융(C&I)과 부동산 금융, 리스, 모기지,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트폴리오를 갖춘 은행은 특히 중견 기업과 헬스케어, 소매, 이른바 TMT(테크, 미디어, 통신) 섹터를 대상으로 맞춤형 금융서비스와 시장 환경에 특화된 자본 시장 솔루션을 제공한다.
미국 남동부를 중심으로 성장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한 은행은 2025년 말까지 400개 지점을 두는 데 목표를 두고, 신규 지점들이 평균 2500만달러 예금 유치에 나서는 등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업체는 핀테크와 디지털 금융 기술을 동원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통해 시장 입지를 강화하는 데 분주한 움직임이다.
시장 전문가들과 주요 외신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피프스 서드 뱅코프의 상업 대출(commercial loans) 포트폴리오에서 대출 수요 증가와 신규 여신 확대, 계정 관리 성과 개선 등 다각적인 반사이익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금리 인하에 따라 기존 차입자나 신규 대출자 모두의 대출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업체가 특히 중견 및 소상공인과 헬스케어, 부동산, 전문 서비스 업종에서 맞춤형 금융을 제공하는 데 특화돼 있어 성장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는 얘기다.
최근 수 년간 업체는 산업별 맞춤형 대출 상품과 디지털 플랫폼 강화로 신규 고객 유치에 적극 뛰어들었고, 금리 인하는 성과를 더욱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포트폴리오의 질적 개선도 예상된다. 차입 여건 개선으로 우량 차입자와 보수적인 신용등급 업체에 대한 대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연체율이나 대손 비용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리 인하로 전체 대출 자산이 급증할 경우 총이자수익 확대 및 수수료를 포함한 비이자수익 부문 역시 개선될 여지가 높다. 시장 내 강도 높은 경쟁에도 피프스 서드가 구축한 거래 관계 중심의 영업 전략이 점유율 확대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최근 분기까지 업체는 월가의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달성했다. 2025년 2분기 매출액이 22억5000만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인 22억2000만달러를 앞질렀고, 주당순이익(EPS) 역시 0.88달러로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 0.87달러보다 높았다.
2분기 순이자 이익이 전년 동기에 비해 7% 늘어났고, 유형 자산 가치가 18% 급증하는 등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이 동종 업계 최상위권에 해당한다.
2025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주가수익률(PER)은 13.5배 내외로, 내재 가치에 비해 7% 가량 저평가 된 상태다. 여기에 51년 연속 배당 지급을 포함한 주주 친화적인 정책도 피프스 서드의 투자 포인트로 꼽힌다.
리전스 파이낸셜(RF)은 미국 남부와 중서부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전통 금융 서비스 및 모기지, 디지털 뱅킹에 주력한다. 특히 자산 관리와 기업 금융, 재무 관리 등 수수료 기반의 비즈니스에서 강점을 지녔다는 평가다.
업체는 2024년 18억달러의 순이익과 66억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한 가운데 투자은행 및 금융자문 등 부문별 실적이 미국 지역은행 중 상위권으로 꼽힌다.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19.5%로 해당 섹터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최근 실적도 '홈런'이라는 평가다. 2025년 2분기 업체는 19억1000만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해 시장 전망치인 18억6000만달러를 앞지른 동시에 전년 동기 대비 10%에 달하는 성장을 이뤄냈다. 같은 기간 주당순이익(EPS)은 0.60달러로 월가의 예상치인 0.56달러를 웃돌았다.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에도 적극적이다.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금융 IT를 근간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커다란 무게를 두고 있고, 미국 남부 지역에서 점유율 확대를 통한 견조한 성장이 예상된다.
리전스 파이낸셜은 본질적인 성장 잠재력과 수익 창출력에 더해 철저한 리스크 관리로 투자자들 사이에 안정적인 선택지로 주목 받는 지역은행이다.
자이온스 뱅코퍼레이션(ZION)은 유타와 애리조나, 텍사스 등 미국 남서부 지역에서 밀착형 뱅킹 및 중소기업 대출, 그 밖에 지역 사회 기반의 관계형 금융(relationship banking)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업체는 아멕지와 캘리포니아 은행 등 다수의 자회사 브랜드를 통해 다각화된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운영 중이다.
2024년 기준 900억달러의 자산과 순이익 29억달러의 실적을 달성했고, 55년 연속 배당을 실시했다. 그만큼 기초 체력이 견고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살펴본 두 개 업체와 마찬가지로 IT 투자와 디지털 전환에 공격적인 투자를 강행하는 한편 내실 위주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선행 주가수익률(PER)이 4.2~9.5배의 역사적인 저평가 구간에서 움직이고 있어 금리 인하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경우 강한 레버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다만, 부동산과 그 밖에 일부 위험자산에 대한 노출이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된다.
마지막으로 코메리카(CMA)는 중소기업 대출과 상업 대출, 디지털 금융에 주력하는 가운데 최근 소상공인을 위한 코업(Co-Op) 프로그램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 등 차별화된 솔루션으로 시장 입지를 강화하는 움직임이다.
텍사스와 미시간에서 특히 강력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 경제가 회복될 때 커다란 반사이익을 얻을 전망이다.
업체는 이미 2025년 2분기 강력한 실적 향상을 나타냈다. 주당순이익(EPS)이 1.42달러로 전분기 대비 14%, 전년 동기 대비 16% 급증한 것. 안정적인 순이자마진과 11.94%의 자본비율(CET1), 3%의 대출 성장률 등 재무지표도 견고하다는 평가다.
이익 전망치를 기준으로 한 주가수익률(PER)이 13배 초반대에 머무는 데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3배에 그쳐 시장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에 해당한다는 진단이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주가가 현 수준에서 17% 상승 잠재력을 지녔다고 본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