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 울릉공항 ‘마지막 케이슨’ 설치 완료

2025-05-08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DL이앤씨가 울릉공항의 마지막 케이슨 설치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2022년 5월 첫 설치 이후 약 3년 만으로, 총 30함의 케이슨을 모두 바닷속에 가라앉히며 활주로 기초 공사가 마무리됐다.

‘케이슨’은 항만이나 방파제 등 해양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울릉공항은 국내 최초로 도서지역에 조성되는 공항으로, 평지가 부족한 울릉도에 1200m 길이의 활주로를 마련하기 위해 케이슨을 활용한 매립 방식이 적용됐다.

DL이앤씨는 ‘케이슨 공법’을 국내 공항 건설에 처음 도입했다. 바다에 대형 케이슨을 침설한 뒤 그 안쪽을 메우는 방식으로, 수심 약 30m의 울릉도 해역에 맞춰 최대 높이 28m, 길이 38m, 너비 32m의 케이슨을 제작했다. 무게는 1만6400t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

이 구조물은 단순히 크기만 큰 것이 아니다. DL이앤씨는 강한 동해 파도에 대응하기 위해 벌집 구조를 본뜬 ‘파력 분산형 케이슨’을 설계했다. 격자형 내부 공간이 파도를 흡수하고 에너지를 분산시켜 충격을 줄인다. 여기에 곡면 구조를 접목해 200년 빈도의 최고 파고(22.6m)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했다.

공사 난이도 역시 국내 최고 수준이다. 케이슨은 DL이앤씨가 포항 영일만에서 제작한 뒤 해상으로 울릉도까지 운송됐다. 운반은 유압잭 96개가 설치된 전용 운송 장비인 ‘IPCCV(Individual Pushing Caisson Carrier Vehicle)’가 맡았다. 이후 예인선을 통해 케이슨 하나당 약 210km를 이동시켜야 했으며, 전체 운송 거리는 6300km에 달해 국내 최장 기록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파도의 높이가 1.5m 이하인 날만 작업이 가능해, 한 달 평균 10~15일 정도밖에 운항할 수 없는 제약도 있었다. 설치 지점에 도달한 케이슨은 바닷속에 영구 고정됐고, 기초 공사를 위해 6만t에 달하는 사석(작은 돌덩이)을 투입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는 잠수부가 직접 틈새를 메우는 정밀 수작업도 병행됐다.

울릉공항은 울릉군 사동항 일대에 총 43만455㎡(약 13만평) 규모로 조성되며, DL이앤씨가 설계부터 자재 조달, 시공까지 총괄하는 턴키(일괄수주) 방식으로 사업을 수행 중이다. 총 사업비는 6073억 원이며, 2020년 7월 착공 이후 현재 공정률은 61%다. 주요 매립 및 활주로 공사를 마무리한 뒤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한다.

공항이 개항하면 서울에서 울릉도까지의 이동 시간은 기존 7시간에서 약 1시간으로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울릉공항은 파도가 강한 동해 한복판에 지어지는 만큼 고도의 기술력과 안정성이 요구된다”며 “완공까지 임직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