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동남아 '원전 세일즈' 가동…"韓 새 대통령도 나서야"

2025-05-26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원전 세일즈'를 위한 동남아 순방에 돌입했다. 체코 등 유럽 원전 시장에 이어 동남아에서도 한국과 원전 수출 경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의 첫 목적지인 베트남에 전날 밤 도착한 뒤 이날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을 만났다. 특히 마크롱 대통령은 27일엔 베트남의 에너지 분야 주요 관계자들을 만나 프랑스의 원전 기술을 홍보할 예정이다. 그는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도 차례로 방문해 프랑스의 원전 전문성을 알릴 계획이라고 외신은 전했다.

마크롱 대통령이 이처럼 원전 세일즈에 나선 건 동남아에서 원전 건설 붐이 확산하고 있어서다. 베트남은 오는 2030년 말까지 첫 원전 완공을 목표로 세웠다. 당초 베트남은 지난 2009년 원전 2기 개발 계획을 승인하고 2030년까지 원전 총 14기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안전성 논란이 커지자 2016년 원전 개발을 전면 중단했다. 이후 대부분의 발전량을 수력·화력 발전에 의존해온 베트남은 심각한 전력난을 겪어왔다. 이에 지난해 11월 베트남은 원전 개발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인도네시아도 오는 2050년까지 원전 20기 이상 건설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인도네시아 정부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 확보와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원전을 짓겠다며 후보지 29곳을 선정했다.

필리핀 역시 2032년까지 최소 1200㎿(메가와트) 용량 상업용 원전 가동을 시작하겠다는 목표를 지난해 9월 공개했다. 필리핀 정부는 고질적인 전력난 해소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지난 2022년부터 원전 도입을 추진해왔다.

말레이시아는 2035년 이후 원전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태국은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검토 중이다. 싱가포르도 지난 7월 미국과 원자력 기술 협정을 체결하고 원전 도입 여부를 논의 중이다.

이에 따라 동남아 국가들을 상대로 한 원전 수출 경쟁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베트남의 원전 1호기는 사실상 러시아의 수주가 유력한 상황이다. 베트남은 최근 러시아와 첫 원전 건설 계약 협상을 신속히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원전 수출에 공을 들여왔다.

그러나 베트남이 향후 원전 2~4호기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본격적인 수주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일 로이터통신은 "프랑스와 한국 등도 베트남과의 원전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월 8년 만에 베트남과의 원전 산업 대화체를 재개해 구체적인 원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마크롱은 이번 베트남 방문에서 시장 선점을 노릴 것이란 분석이다. 그는 앞서 체코 신규 원전 수주전에도 적극 임했다. 당시 체코를 총 3번이나 찾아 직접 세일즈에 나섰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9월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한국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직후 체코를 방문했다. 결국 체코 신규 원전은 한국이 수주에 성공했지만,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제기한 소송에 따른 체코 지방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따라 계약이 기약 없이 미뤄진 상태다.

한국과 프랑스의 치열한 '원전 수출 경쟁'은 유럽에 이어 동남아 시장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프랑스는 자국 내에서 원전을 57기나 운영 중인 세계 두 번째 원전 강국으로 수출에 적극적이다. 다만 프랑스는 핀란드 올킬루오토 3호기 등의 공사를 지연하는 등 시공 능력에 한계를 보였다. 반면 한국은 지난 2009년 프랑스를 누르고 수주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을 일정대로 건설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전 세계에서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나라는 한국·미국·프랑스·러시아·중국 등인데, 미국과 프랑스의 원전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러시아와 중국은 안전성에 우려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장은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의 K원전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K원전의 경쟁력을 고려할 때 동남아 시장 진출 미래가 밝다"며 "차기 한국의 대통령도 원전 세일즈에 적극 나서는 등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