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한 신라 금관 모형과 무궁화 대훈장이 전 세계 주요 외신의 관심을 끌고 있다. 외신들은 “한국이 화려한 ‘황금 선물’로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을 정조준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경주 국립박물관 천년미소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훈장인 무궁화 대훈장을 수여하고, 신라 천마총 금관을 본뜬 금관 모형을 직접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특별한 선물”이라며 만족감을 표시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금관 모형은 10세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통치한 신라 왕국의 상징”이라며 “신라가 금을 풍부하게 사용하고 실크로드 무역으로 ‘황금의 나라’라 불렸다”고 전했다.
WP는 또 “신라가 세 왕국을 최초로 통일한 만큼, 이 왕관은 평화와 통합을 상징한다”는 한국 관계자의 설명도 함께 소개했다. 다만 “미국 전역에서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가 열린 지 불과 2주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왕관을 선물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권위주의적 통치 비판을 받는 트럼프가 ‘왕관’을 받는 장면은 상징적 역설을 보여준다”고 논평했다.
CNN은 “한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금 사랑(gold obsession)을 적극 활용했다”고 전했다. 방송은 이날 오찬 겸 회담 자리에서 ‘한미의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는 금빛 디저트가 제공됐다며 “한국이 트럼프의 미적 취향을 세심하게 고려했다”고 평가했다.
CNN은 또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2기 취임 이후 백악관 집무실을 금장 장식으로 꾸몄고, 새 연회장에도 금 샹들리에와 금박 기둥을 설치 중”이라며 “한국의 금관 선물은 그에게 완벽한 맞춤형”이라고 덧붙였다.
AFP통신은 “미국에선 왕이 없다고 외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지만, 한국 관료들은 군주를 사랑하는 권력자를 위해 복제 황금 왕관을 준비했다”고 보도했다.

뉴욕포스트(NP) 역시 “미국 내 700만 명이 참여한 ‘노 킹스’ 시위 불과 2주 뒤, 트럼프 대통령은 왕관을 받았다”고 꼬집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이번 선물이 시위대의 분노를 조금 자극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한국이 황금 선물과 최고의 예우로 트럼프 대통령을 환대했지만, 한미 간 주요 무역합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한국의 정성스러운 ‘황금 외교’가 실질적 결실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외신들은 공통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취향과 상징정치에 대한 이해가 반영된 외교적 제스처”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받은 신라 금관은 하늘의 권위와 지상의 통치를 연결하는 신성함, 지도자의 리더십과 권위를 상징한다는 설명이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신라의 금관은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 번영의 염원을 담은 상징물”이라며 “한국이 한미 동맹의 황금빛 미래를 기대하는 의미로 선물했다”고 말했다.


![[속보] 李대통령, 트럼프에 무궁화대훈장 수여…美대통령 최초](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9/bbd576c2-2f9d-432d-a7f8-0be66fa2bfa2.jpg)

![[속보]트럼프 대통령, 김해공항 도착…역대 최단기간 한·미 정상 상호 방문](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9/rcv.YNA.20251029.PYH2025102908300001300_P1.webp)

![[사진] ‘금관 모형’ 선물에 트럼프 “너무 아름다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30/3301d6dc-f718-4511-b434-b0a51a09beff.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