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서구 일대의 무인점포 3곳이 불과 하루 사이에 잇따라 털렸다. 범인은 중국인 남성 1명으로, 경찰은 이미 출국한 것으로 파악했다.
4일 전파를 탄 JTBC ‘사건반장’에 따르면 무인점포 사장이자 피해자인 A씨는 지난 9월 21일 밤 아이스크림 무인점포를 운영하던 중 한 손님으로부터 “가게에 도둑이 든 것 같다”, “키오스크 문이 열려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곧장 CC(폐쇄회로)TV를 확인한 A씨는 모자에 마스크, 장갑까지 착용한 남성이 50초 만에 키오스크 문을 능숙하게 뜯어내는 장면을 목격했다.
범인은 현금 40만 원을 훔친 뒤 가게에 들어온 손님과 마주치자 황급히 가게를 나갔다. 하지만 5분 만에 다시 돌아와 미처 챙기지 못한 1000원권 여러 장을 추가로 훔쳤다.
A씨는 “절도범이 현금통 위치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손님을 보고 황급히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더니 드라이버를 챙겨 나가는 대범함도 보였다”며 “보통 도망치기 바쁜데 간도 크다”고 호소했다.
이어 "2차 범행 때는 현금 교환용 지폐를 챙겼다. 잔돈 교환기에 1000원짜리가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라며 "얼마나 많은 범행을 저질렀기에 이런 것까지 알고 있겠나"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A씨의 신고를 받은 경찰은 이미 같은 수법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경찰은 “여기 말고도 나머지 두 곳에서 더 털렸다”고 전했다.
두 번째 피해 점주는 “한 4~5분 사이 (범인이 들어오자마자) 회로 차단기를 내리고 키오스크를 흔들어 1000원짜리 50만 원어치를 들고 갔다”며 “미리 시장을 파악하고 왔다. 막힘없이 들어오자마자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다. 그는 키오스크 수리비 100만 원 등 약 150만 원의 피해를 봤다고 호소했다.
경찰 조사 결과 절도범은 중국 국적 남성으로, 범행 후 며칠 뒤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A씨는 "절도범을 잡으려면 절도범이 다시 입국해야 체포나 조사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 사람이 현금만 가져갔다. 동전은 환전이 안 되니 출국 전 아예 작정하고 범행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단독] 한국 오려던 탈북민도 캄보디아에 유인·납치..."정부 적극 나서야"](https://img.newspim.com/news/2025/11/05/2511051056334820_w.jpg)


![[AI 사건 리포트] 천호동 흉기난동 사건…가평 50대男 차량 루프탑 텐트서 숨져](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446105640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