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확보 로드맵 제시
주요기술 100개 세분화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방위사업청은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및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에 근거해 군이 요구하는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중·장기 기술확보 전략을 담은 ‘2025~2039 국방기술기획서<사진>’를 19일 발간했다.
국방기술기획서는 향후 15년간의 국방과학기술 개발 방향과 기술 확보 로드맵을 제시하며, 첨단기술 기반의 미래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전략적 핵심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국방기술기획서에는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0개 기술을 상세 분석해 기존 분석된 87개 세부기술을 100개로 세분화하고 기술별 예상 목표를 정량화해 제시함으로써, 산·학·연이 향후 과제에 참여할 때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해 연구 방향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는 △인공지능 △유·무인복합 △양자 △우주 △에너지 △첨단소재 △사이버·네트워크 △센서·전자기전 △추진 △WMD 대응 등이다.
방위사업청은 국방기술기획서 발간을 위해 산·학·연·군의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으며, ‘AI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등의 미래 첨단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무기체계 기반 로드맵도 함께 수록했다.
한경수 방위사업청 국방기술보호국장은 “이번 ‘2025~2039 국방기술기획서’의 발간으로 미래 안보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술 주도형 국방 혁신을 통해 우리 군의 첨단무기체계 확보 계획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2025~2039 국방기술기획서’를 토대로 우수한 민간기술을 적극적으로 국방분야에 유입하기 위해 산·학·연이 참여 가능한 과제를 사전에 인지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일반본을 작성해 배포할 계획이다.
2025~2039 국방기술기획서(일반본)에는 국방기술 과제에 대한 개요, 예산, 기간, 연구항목 등의 세부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누리집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