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펠란(사진) 미 해군성 장관이 30일 한국을 찾아 ‘조선업 협력’ 의지를 드러내며 울산·거제의 조선소를 직접 둘러봤다. 펠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접견했다.
한 대행은 펠란 장관에게 “한국은 미국 조선업 재건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조선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펠란 장관은 “한·미 간 성공적인 유지·보수·정비(MRO) 협력이 미 해군의 대비태세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향후 한국 기업들과 적극적인 조선 협력 추진을 위해 가능한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후 펠란 장관은 울산의 HD현대중공업과 경남 거제 한화오션 조선소를 연달아 찾았다. 이날 오후 2시쯤 울산에 도착한 펠란 장관은 두 시간가량 HD현대중공업의 야드 투어를 하며 조선소를 살폈다고 한다. 미 해군성은 장관의 동선과 발언에 철통 보안을 요구해 극소수의 관계자만 조선소 내 구역별로 참석했다.
일부 참석자에 따르면 안전모를 쓴 펠란 장관 옆을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밀착 안내했다고 한다. 특히 펠란 장관은 현대중공업 특수선 사업부에서 건조 중인 ‘이지스 구축함’을 살펴보고, 정기 점검 중인 정조대왕함에 올랐다고 한다.
펠란 장관은 헬기로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으로 이동해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거제조선소를 둘러봤다. 펠란 장관과 김 부회장은 여의도 1.7배 크기의 거제조선소 내에서도 가장 안쪽에 위치한 특수선 야드를 방문해 정비 중인 미 해군의 급유함 ‘유콘’을 함께 둘러봤다. 펠란 장관은 김 부회장의 안내로 현재 건조 중인 잠수함 ‘장보고-Ⅲ 배치(Batch)-Ⅱ’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펠란 장관은 사업가 출신으로 장관 지명 때부터 화제가 됐다. 쇠퇴한 미국 조선 산업과 중국에 뒤처지는 해군력 제고를 우선 과제로 삼고, 효율적이고 유연한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선 “일본 조선업계도 MRO 사업에 힘쓰고 미국에서 선박 건조를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 조선업계는 미 해군 MRO 시장 확대를 기대한다. KOTRA에 따르면 미 의회는 해군이 연간 MRO에 집행한 예산이 최대 74억 달러(약 10조5000억원)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 중 현재 한국이 참여할 수 있는 건은 미 태평양 7함대 소속 비전투함 정비 사업들이다.
해군 출신인 문근식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특임교수는 “전체 사업의 10% 정도를 일본과 한국이 나눠 가질 것으로 보이는데, 일본이 MRO를 해왔지만 증가 수요를 다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한국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건의 MRO 사업을 수주한 한화오션은 올해는 총 5~6척 신규 수주를 노리고 있다. 올 3월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함은 인도를 마쳤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2~3척 수주를 목표로 한다. 이번 펠란 장관의 방문은 양사의 기술력을 직접 선보일 기회로, 비공개로 진행 중인 수주 경쟁의 장외전 성격이 짙다.
조선업계는 펠란 장관 방문을 계기로 MRO를 넘어 새 배를 건조하는 데까지 협력의 물꼬가 트일지 기대하고 있다. 미 해군은 신규 함정 조달을 위해 2054년까지 연평균 12척씩 약 300억 달러(약 42조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문 교수는 “미국은 이번 방문에서 건조·납기 능력뿐 아니라 미국에서 배를 건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등을 두루 살피고 갔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