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30년 과학이 빚은 대표 K브랜드 ‘한우’ 분석 결과 발표

2025-10-29

국산 대표 브랜드 한우가 30여 년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고급육 생산 체계를 완성하며 ‘K-푸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29일 한우에 관한 종합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30여 년간 한우는 유전능력 개량과 정밀 사양관리 기술 발전을 통해 생체중과 근내지방도가 각각 31.4%, 33%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맛과 식감, 색감이 균일한 고급육 생산 체계가 완성됐음을 뜻한다.

우리 한우의 브랜드화는 1990년대 중반 들어 값싼 수입 쇠고기 유입으로 경쟁력이 약화되자, 정부와 연구기관은 품질 중심의 개량 정책과 연구개발을 집중하면서 이뤄졌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 1993년부터 유전능력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2017년에는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씨수소 선발 기법을 도입해 정확도를 11%포인트 높였다.

지난 2020년에는 암소를 대상으로 ‘유전체 유전능력 분석 서비스’를 상용화해 농가의 유전능력 예측 정확도를 기존 40%에서 60%로 끌어올리기도 했다.

이를 통해 암소 선발 효율과 출하 수익이 개선되며 연간 약 1천13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또 쌀겨·맥주박 등 농식품 부산물을 활용한 ‘자가 섬유질배합사료(TMR)’ 제조 기술을 보급했으며, 사료비를 최대 40%까지 절감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 같은 기술 진보로 도체 정육률은 36.4%에서 38.8%로, 등심 내 지방 함량은 100g당 10.7g에서 14.3g으로 증가했다.

육즙 유지력은 21% 향상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고급 한우’ 이미지가 강화됐다.

농진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거세비육우 표준체중’을 새롭게 조정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출했으며, 향후 재해보상·살처분 보상금 산정 기준 등 정책 근거로 활용될 예정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한우의 고급화는 과학 기반의 개량과 현장 기술이 결합된 결과”라며,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규희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