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2월 추가 금리 인하가 확정된 것이 아니라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한편 엔비디아는 시가총액 5조달러 고지를 최초로 밟았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37포인트(-0.16%) 내린 47,632.0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30포인트(0.00%) 내린 6,890.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30.98포인트(0.55%) 오른 23,958.47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이날 상승에 힘입어 종가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미국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4.00~4.25%에서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달 0.25%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2회 연속 인하다.
파월 의장은 이날 FOMC 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금리 인하는 중립금리에 근접하기 위한 위험 관리 차원의 조정“이라며 “향후 방향은 별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는 것은 결코 기정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12월 금리 인하를 기정 사실로 여겨온 시장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그러나 인공지능(AI) 관련 기대감은 꺼지지 않았다. 특히 기술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2.99% 상승, 207.04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5조달러를 돌파했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개발자 행사(GTC)에서 “AI 거품론은 근거가 없다”며 “블랙웰 프로세서와 루빈 모델이 내년까지 전례 없는 매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코인 시황] 비트코인, 파월 매파 발언에 급락…미·중 회담 소식에 낙폭 축소](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