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영화가 좋은 영화입니까?”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온 첫 해 한 신문기자로부터 들었던 질문이었다. 당시에는 내 삶에 연결되는 영화가 좋은 영화라고 답을 했다. 지금 답을 한다면 프란츠 카프카의 말을 인용해 보고 싶다. “책이란 무릇 우리 내면의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되는 거야.” 책 뿐 아니라 모든 예술이 그렇듯, 좋은 영화는 관객을 대변하는 데에서 그치지않고 우리를 무장해제시키고, 기존의 생각을 깨버린다. 그리하여 전에는 보지 못했던 다른 삶을 보게 하는 것, 즉 한 사람의 세계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 예술과 삶을 관통하며 도끼로 부수는 듯한 혁신을 이루어 온 인물이 있다.
대만의 차이밍량 감독은 도시인의 고독감을 표현한 <애정만세>, <하류> 등의 영화로 세계 3대 영화제 칸, 베니스, 베를린에서 수상했고, 루브르박물관에 소장된 최초의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2013년 그는 베니스영화제에서 <떠돌이 개>를 공개하고 심사위원 대상을 차지했지만 기자회견에서 돌연 더 이상 상업적인 방식으로는 영화를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의 다음 행보는 붉은 법의를 입은 승려가 맨발로 도시를 느리게 걷는 영화, ‘행자 연작’이었다.
행자 연작은 우리에게 중국 소설 『서유기』의 캐릭터로 알려졌지만 실존 인물이었던 삼장법사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감독은 기차도 버스도 없던 시절 오직 불경을 구하고자 죽을 각오로 사막을 건넌 삼장의 정신에 감명받았고, 자신 또한 늘 해오던 방식에서 벗어난 영화 만들기를 각오했다. 많은 예산과 최고의 스태프 같은 성공법칙을 내려두고 최소한의 자원으로 삼장의 정신을 컨셉화 한 영화를 만든 것이다. 단편부터 장편까지 총 10편의 영화 속에는 붉은 승복을 입은 행자가 타이페이에서부터 홍콩, 도쿄, 마르세유, 워싱턴 등 도시를 어떤 대사도 없이 지속적으로 천천히 걷는 모습을 보여준다. 관객은 화면의 시작점에서 끝까지 움직이는 배우를 보고, 시간이 남기에 그를 둘러싼 환경도 관찰하게 된다. 머리 속은 ‘내가 무엇을 봐야하는가’부터 온갖 잡생각을 거치지만 여전히 행자는 걷고 있기 때문에 ‘나는 왜 이토록 생각이 끊이지 않는가’로 이어져 영화를 보고 있는 나의 존재를 자각하게 된다. 이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사유를 영화보기로 증명한 것이지만, 행자 연작은 서양 철학의 한계에 갇히지 않고 사유의 시간을 넘어 나의 생각과 존재함이 의미를 가지지 않는 응시의 순간에 도달하게 한다. 발걸음의 반복이 마술처럼 우리의 내면을 열어젖히고 상념없이 화면 속의 세상을 보게 한다. 나라는 인식이 사라지고 세상이라는 이미지를 편견없이 보는 순간에 다다르게 된다. 존재감의 초월을 체험하게 하는 영화가 바로 행자 연작이다.
차이밍량과 전주의 인연은 뜻 깊다. 그는 전주국제영화제의 '디지털삼인삼색' 이라는 영화제작 기획을 통해 디지털 영화를 처음 만들었고, 그의 단편 <신과의 대화>는 전주국제영화제를 세계에 알린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지난해 필자는 조심스럽게 전주에서 행자 연작을 찍어보면 어떻겠냐 감독에게 제안했고 그는 기쁘게도 이를 받아들였다. 내년 독립영화의 집 터를 비롯해 전주 곳곳을 붉은 옷의 행자가 걸을 것이다. 차이밍량이 이끄는 사유와 응시의 체험이 전주의 아름다움을 통해 일어날 것이다.
△문성경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는 스위스 바젤영화제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문성경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존재를 체험하는 영화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