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로 본 '1년전 오늘']
2024년 8월 20일 "온누리상품권 역대 최대 5.5조··· 가맹제한업종 축소"
지난 2024년 8월 20일은 두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바로 '온누리상품권'과 '민생경제'다.

● 내년도 예산안 당정협의
내년도 온누리 상품권 발행을 5조5천억원 규모로 늘리고 사용처도 확대한다.
다자녀 가구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대폭 높이고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한 각종 사업 예산도 반영된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2024년 8월 20일 국회에서 2025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먼저 전통시장 등에서 쓸 수 있는 온누리 상품권을 역대 최대 규모인 5조5천억원까지 늘리고 가맹 제한 업종을 현행 40종에서 28종으로 줄여 사용처를 확대한다.
소상공인 대상 키오스크(무인 정보 단말기) 수수료를 반값으로 내리는 방안도 연내 추진한다.
잠재력 있는 유망 소상공인을 위한 '스케일업 지원' 및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전용 자금 5천억원을 신설한다.
다자녀 가구에 대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최대 2배(600만원)로 확대하고 K패스 교통카드 할인율도 최대 50%(3자녀)까지 늘리는 등 사회적 혜택을 확충한다.
전기차 화재예방충전기 보급을 9만대까지 확대하고 무인파괴방수차, 전기차 화재 진압장비 등을 추가 도입하는 예산도 반영하기로 했다.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을 기존 5천호에서 7천500호로 확대하고, 의과대학 내 필수의료분야 국립대 교수는 3년간 1천명 증원키로 했다.
핵심 과학기술 인력양성 차원에서 석박사 연구장려금을 현행 2배로 늘리고 이공계 석사 장학금도 추가로 신설한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문재인 정부의 무대책 무개념 무책임 '3무 재정' 폭주로 재정여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경제 체력이 고갈된 상태에서도 2023년, 2024년도 예산에 비해서는 내년도 예산에도 약자 복지를 역대 최대로 강화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 회복을 선도하는 건전재정 역할에 최대한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준 중위소득을 3년 연속 최대폭 인상해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강한다"며 "R&D 투자를 선도형으로 전면 개편해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 도약과 수출 모멘텀 확산을 위한 기반도 조성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주현기자
joojoo@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