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유튜버나 유사언론의 ‘가짜 뉴스’ 근절 방안을 검토하라고 법무부에 지시했다.
3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제26회 국무회의(6월 19일) 회의록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가짜뉴스로 돈 버는 것이 너무 많다"며 "이것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해 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뿌리는 유튜버들을 어떻게 할지 법무부에서 검토하고, 영리를 위해 법을 어기는 행위는 형사 처벌로는 안 된다”며 “제일 좋은 것이 징벌 배상”이라고 했다.
이어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다”며 "미국에서는 법을 어겨서 돈을 벌겠다고 생각하는 게 매우 어렵지 않냐"고 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에서 이익을 환수하는 것은 실제 공권력이 동원되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 때문에 실제 적용이 안 될 가능성이 많다”며 “결국은 제재 조항이 많아지고 정부 권력이 커지니 검찰권 남용 문제가 나오고, 권력자들이 그것을 활용하려는 유혹을 느끼는데 그것을 근본적으로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지금까지 나온 제도의 방식으로는 징벌 배상인 것 같다. 예를 들어 가짜 식품을 만들어 파는 경우 징벌 배상으로 판매액의 몇 배를 내게 해서 망해버리게 해야 실제로 통제가 가능할 것”이라며 “돈벌이 목적으로 불법을 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어떻게 막을지 별도로 보고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김석우 법무부 차관은 “법무부에서 생각하는 것은 범죄수익은 형사처벌에 앞서 부당이득을 국가로 귀속시키거나 피해자에게 환급하는 것”이라며 “피고인이 외국에 가 있거나 특정이 안 되는 경우 한계가 있는데, 이런 부분에서도 범죄수익을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