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카쿠열도 국유화로 반일 시위·불매운동 확산
이번 충돌 장기화되면 日 성장률 '반토막'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대만 문제를 둘러싸고 중국과 일본이 충돌하면서, 양국 관계 악화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자국민에게 일본으로의 여행을 삼가도록 권고하는 등 대응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치가 인바운드(방일 관광객) 수요를 줄이고 무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 일본 경제는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2012년의 기억 재연되나
중일 관계가 악화된 사건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2012년의 일이다.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중국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싸고 양국이 충돌하면서다.
당시 도쿄도의 이시하라 신타로 지사가 센카쿠열도를 매입하려 하자, 노다 요시히코 민주당 정권은 안정적 관리를 명분으로 내세워 국유화를 주장했다.
그해 9월 일본 정부는 센카쿠열도의 무인도 5개 중 우오쓰리시마, 미나미코지마, 기타코지마 등 3개를 개인으로부터 매입했다. 3개 섬의 매입 가격은 약 20억5000만엔, 당시 환율로 약 300억원 수준이다.
이에 중국 측은 강력하게 반발했고, 반일 시위와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일본 방문객 수는 급감했고 자동차 수출 등에도 큰 타격이 있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당시 대중 수출 품목 중 특히 큰 영향을 받은 것은 건설·광산용 기계, 철강, 자동차 등이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의 경우 국유화 직후인 10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82.4% 감소했고, 9~12월 분기에도 63.0% 감소했다.
연간으로 보면 2012년 중일 무역 총액은 약 3337억달러로 전년 대비 3.3% 감소하며, 3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일본의 대중 수출은 1447억달러로 10.4% 줄었다. 이후에도 한동안 회복되지 않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 것은 2017년 이후였다.
관광 측면에서도 일본행 여행 취소가 잇따랐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2012년 중국의 일본 방문객 수는 약 83만명, 2013년에는 70만명으로 감소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회복되던 관광 수요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 충돌 장기화되면 日 성장률 '반토막'
이번에도 중일 관계 악화가 장기화되면 일본 경제의 타격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바운드 수요 감소와 수출 차질이 심화되면 주가 급등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기업 실적과 경제 불안을 우려해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이 멀어질 경우, 엔저로 인한 물가 상승이 서민 생활을 계속 압박할 수도 있다.
노무라종합연구소의 기우치 노부히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의 여행 자제 권고로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줄어들면 일본 경제에 상당한 손실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2012년의 경우 일본 방문 중국인 관광객이 1년 새 약 25.1% 감소했다고 설명하며, "올해 9월까지 1년 동안 방일 중국인은 922만 명이었다. 앞으로 1년간 25.1% 줄어든다고 가정하면, 인바운드 소비 감소액은 약 2조2124억엔에 달하며,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0.36% 끌어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내각부의 추정에 따르면 일본의 잠재 성장률은 올해 4~6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수준이다. 방문객 감소만으로 연간 성장률의 절반 이상이 깎인다는 의미다.
일본 내에서는 "이는 고물가에 시달리는 국민 생활과 일본 경제의 향방 모두에 중대한 우려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goldendog@newspim.com
!["日 가지마라" 中 보복 규제 번지나[글로벌 모닝 브리핑]](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LIQLR3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