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압박 고삐 죄는 트럼프…“中, 美 틱톡 통제 승인 안하면 차단”

2025-07-25

미중 양국이 최근 무역 협상을 치열하게 진행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숏폼(길이가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빌미로 다시 한 번 중국을 압박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4일(현지 시간) CNBC 방송과 인터뷰를 갖고 틱톡의 자국 내 사업권 매각 문제를 거론하면서 “미국의 통제권 강화를 중국이 승인하지 않으면 틱톡은 차단(블랙아웃)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트닉 장관은 중국의 통제를 받으면서 1억 개의 미국인 휴대전화에 설치된 앱을 허용할 수는 없다"며 “미국인들이 기술을 소유하고 알고리즘을 통제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그러면서 자신이 언급한 조치를 자기 만의 생각이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하겠다고 한 일”이라고 명확히 규정했다.

틱톡은 중국계 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플랫폼으로 구글의 유튜브나 메타의 인스타그램 등과 경쟁 관계에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만 해도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다가 2기 들어서는 취임 당일부터 관련 법안을 75일 유예했다. 대선 과정에서 틱톡을 통해 젊은 층 공략에 성공한 만큼 서비스는 살리되 미국 기업에 사업권을 넘기겠다는 복안에서다.

틱톡금지법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사업을 금지하는 법안이다. 미국인 개인정보 보호를 명목으로 지난해 4월 제정됐다. 미국 틱톡 사업권의 당초 매각 시한은 지난 1월 19일에서 3차례 연장을 거쳐 오는 9월 17일로 변경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 작업을 대중국 관세와 엮는 전략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틱톡을 살 사람이 있다”며 “매우 부유한 사람들의 그룹”이라며 사업권 매각이 임박한 것처럼 호언장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에도 백악관에서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면서 “틱톡에 관해 중국이 아마도 승인 형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것이 성사되면 중국에 약간의 관세 인하나 다른 것을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이 틱톡의 미국 사업에 투자하려는 컨소시엄에서 철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매각 작업이 만만찮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틱톡은 미국 사용자를 위한 전용 앱과 동영상 편집 앱인 ‘캡컷’을 개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내 보안 우려를 불식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