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추모식서 나란히 앉은 정청래·송언석...악수는 언제쯤?

2025-08-18

정청래 "내란 척결" vs 송언석 "'정치보복 없다'는 DJ 정신 되새겨야"

우원식 의장 "다시는 민주주의 역행 못하도록 제도적 기틀 세우겠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여야 지도부는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식에 나란히 참석했지만 악수는커녕 인사조차 하지 않은 채 냉랭한 모습을 이어갔다. 앞서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식에서도 여야 지도부는 나란히 앉았지만 눈길도 마주치지 않았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 전 대통령이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다"며 완전한 내란 척결 강조했다. 반면 송언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통합의 리더십을 언급하며 "여당이 야당을 말살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각기 다른 목소리를 냈다.

김 전 대통령 추모식은 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진행됐다. 행사에는 정 대표와 송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정 대표는 추모사에서 "1980년 광주가 2024년 12·3 내란을 몰아냈다"며 "국민주권주의는 정치적 수사가 아니다. 이미 우리 국토 곳곳 거리와 식당에서 피어나 있다. 누가 완전한 내란 종식 없이 이 사태를 얼버무릴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신이 제게 남겨준 기대와 책임감을 절대 내려놓지 않겠다"며 "오늘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 세력 척결과 같은 말이라고 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김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 했던 '정치보복은 없다'는 약속을 대통령 재임 중에도 지켰다"며 "이러한 리더십이야말로 오늘날 정치권이 반드시 되새겨야 할 가장 귀중한 유산"이라고 받아쳤다.

그는 "특히나 집권당이 야당을 대화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 유사 이래 처음으로 야당 당사를 침입해 500만 당원 명부를 탈취하는, 개인정보 탈취를 하는 현실 앞에 김 전 대통령의 포용과 관용의 정치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보수와 진보, 여와 야를 넘어 국민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야말로 지금 우리 정치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책무"라며 "국익과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통합의 미래로 나아가는 정치를 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추모위원장을 맡은 우 의장은 "역경 속에서도 국민을 믿고 역사의 발전을 낙관했던 대통령의 강인한 정신을 이어가겠다"며 "다시는 민주주의가 역행 하지 못하도록 제도적 기틀을 단단히 세우고 국민의 삶을 향상하는 정치로 민주주의를 증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