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경상·정석근 공동 CIC장 선임...AI 사업 가속화 시동

2025-10-31

전략·기술 분야 전문성 결합한 '투톱 체제' 구축

보고·결재 라인 단축한 민첩한 실행 구조로 전환

"AI 사업 최우선 가치 '속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AI 전문 조직 'AI CIC(Company in Company)'의 공동 책임자로 유경상 Corp. Strategy센터장과 정석근 GPAA사업부장을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SK텔레콤 측은 "급변하는 글로벌 AI산업 환경에서 AI 서비스(수요)와 AI 기반 기술(공급)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확립해야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결정"이라며 "SK텔레콤은 AI CIC장을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지닌 두 사람으로 공동 선임해 투톱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AI 전략과 사업 부문에서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유경상 신임 CIC장은 구글 본사 출신으로 SK그룹의 AI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주도, SK텔레콤의 중장기 전략과 신사업 발굴을 이끌어왔다. 정석근 신임 CIC장은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를 지낸 AI 전문가로, SK텔레콤 합류 후 AI 기술 개발, 글로벌 투자, 플랫폼 인프라 구축 등을 총괄했다.

SK텔레콤은 AI CIC장 선임에 맞춰 조직 개편도 조만간 확정할 예정이다. 보고 및 결재 라인을 간소화하고, 실무 중심의 민첩한 의사결정 구조를 도입해 글로벌 AI 시장의 '골든타임'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정석근 CIC장은 "AI CIC출범은 단순히 조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SKT가 잘 할 수 있는 AI 사업에 집중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급변하는 글로벌 AI 산업 환경에서 SKT만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유경상 CIC장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AI 정예 조직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시장의 변화에 보다 발빠르게 움직임으로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AI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9월 AI 역량을 한데 모아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목표로 AI CIC를 신설한 바 있다.

◆ 유경상 SK텔레콤 AI CIC장 프로필

- 학력 : 연세대 경영학

- 주요 이력

2024년~현재 SK텔레콤 Corp. Strategy센터장

2023년~2023년 SK Digital투자센터장

2020년~2022년 SK 비서1실 임원

2018년~2019년 SK텔레콤 통합플랫폼Offering Unit장

2015년~2017년 SK플래닛 Biz혁신실장

2012년~2014년 SK플래닛 글로벌전략그룹장

2007년~2012년 구글

◆ 정석근 SK텔레콤 AI CIC장 프로필

- 학력 : KAIST 전산학 학사, Georgetown Univ 경영학 석사

- 주요 이력

2025년~현재 SK텔레콤 GPAA사업부장

2023년~2024년 SK텔레콤 Global/AITech사업부 담당

2017년~2023년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

2014년~2017년 NHN Investment

2013년~2014년 네이버

2010년~2013년 Atinum Investment

2008년~2010년 IDG Ventures Korea

2007년~2008년 삼성전자

2000년~2004년 이니시스

1997년~1999년 이니텍

dconnect@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