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이 프로스포츠에 자리 잡아 가고 있다. AI는 신뢰도를 높여 기술과 사람이 공존하는 새로운 환경을 만들고 있다. 프로스포츠에서 AI는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니라,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실제 현장에 좋은 영향을 주는 한 축이 됐다. 야구와 축구 부문에서의 최첨단 기술 AI를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남정훈 인턴기자 = 한국 프로야구는 지난해 AI 기술을 도입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utomatic Ball-Strike System, 이하 ABS)을 전면 도입, 심판 판정 논란 해소와 경기 시간 축소에 도움을 주고있는 것이다.
ABS는 경기장에 설치된 고속 카메라가 투수의 투구를 추적한 뒤, AI가 이를 분석해 가상의 스트라이크 존을 기준으로 볼과 스트라이크를 판별하는 시스템이다. 이 결과는 홈플레이트 뒤에 위치한 구심에게 무선 이어폰을 통해 전달되며, 구심은 AI가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스트라이크/볼 판정을 외친다. 이 시스템을 위해 내야 1루와 3루, 외야 중앙 전광판, 그리고 모니터링용으로 총 4대의 고속 카메라가 경기장에 설치된다.

KBO는 ABS의 스트라이크 존 설정에서도 조정을 가했다. 좌우 기준은 홈 플레이트 양쪽으로 2cm씩 넓혀 적용된다. KBO는 이 같은 설정에 대해 "규칙상의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ABS의 정확한 판정으로 볼넷이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현장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심판과 선수단이 인식하고 있는 기존의 스트라이크 존과 최대한 유사한 존을 구현하기 위한 조정이며, MLB 사무국이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운영할 때 양 사이드 2.5cm씩 확대 운영한 사례 등을 참고했다"라고 설명했다.

상하 기준은 더욱 정밀하게 적용된다. 공이 홈 플레이트의 중간 면과 끝면, 두 지점을 모두 통과해야 스트라이크로 간주한다. 공의 궤적만이 기준이 되며, 포수의 포구 방식은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선수별 신장을 기준으로 상·하단 존의 위치가 결정되는데, 상단은 신장의 55.75%, 하단은 27.04%로 책정돼 있다. 이 비율은 2024년에 비해 0.6% 줄인 것이며, 기존 심판 스트라이크 존의 평균 상·하단 비율을 기준으로 설정했다.


ABS의 도입은 경기 운영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경기 중 항의나 논란이 대폭 줄었고, 피치 클록(투수가 초시계에 따라 제한시간 내 투구를 할 수 있게 하는 기계) 도입까지 더해져 경기 시간도 단축됐다. KBO에 따르면, 2025년 시즌 초 60경기의 평균 경기 시간은 3시간 1분으로, 전년보다 12분 짧아졌다. 이는 1998년(2시간 59분) 이후 최단 기록이다.
심판의 역할도 변화했다. 주심뿐 아니라 양 팀 더그아웃에도 이어폰과 판정 확인용 태블릿이 지급되어, 이제 경기 중 모든 관계자가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게 됐다. ABS의 투구 추적 정확도는 99.9%에 달해, 오심 논란이나 항의의 여지도 거의 사라졌다.
포수의 수비 방식도 바뀌었다. 예전처럼 스트라이크 존 근처의 공을 스트라이크처럼 보이게 만드는 '프레이밍' 기술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포수가 공을 땅에 미트를 내리며 잡더라도, 공이 AI가 인식한 존을 통과했다면 스트라이크로 판정된다. 덕분에 포수는 포구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고, 도루 저지 등을 위한 송구에도 더 신경 쓸 수 있게 됐다.

투수들의 반응은 복잡했다. ABS 도입 이전에는 심판의 성향에 따라 공략을 조절할 수 있었지만, ABS는 그 변수를 없앴다. 덕분에 공정성은 높아졌지만, 익숙한 판정 기준이 사라지며 혼란을 겪은 투수들도 적지 않았다. 2024년에는 ABS 적응 실패로 작년에 비해 평균자책점이 급상승한 투수가 많이 나오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2024년 4월 24일, kt위즈와의 경기에서 류현진은 스트라이크 존의 일관성 부족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류현진은 "3회 조용호 상대로 3구째 공이 낮다고 볼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 5회 조용호를 삼진 잡을 때, 3구째 공이 거의 같은 높이로 들어갔는데,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다. 5회 공이 바깥으로 더 빠져서 오히려 볼이 됐어야 했다"라고 말했다.

팬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KBO 조사에 따르면 ABS에 대한 팬 만족도는 90%에 이른다. 판정 투명성이 높아지면서, 경기 흐름에 대한 불신도 줄었다. 서울에 거주하며 LG 트윈스를 10년째 응원하는 한 20대 팬은 "심판 판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던 일이 거의 사라졌다"며 ABS 도입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5년째 NC 다이노스를 응원하는 인천 거주 20대 남성 팬도 "투수의 멘털 관리에 도움이 되고, 낙차 큰 변화구를 던지는 투수들에게 유리해진 것 같다"라고 말했다.
1년의 적응기를 거친 선수단과 관계자 역시 긍정적으로 돌아섰다. kt의 외국인 타자 멜 로하스 주니어는 ABS를 "양측에게 공정하고 좋은 시스템"이라 평가했고, 전 한화 이글스 박용진 2군 감독도 "투수가 던진 공이 존에 걸치면 자동으로 스트라이크가 되니까 투수·포수 간 스트레스가 덜해 보인다"라며 "일본에 있던 '왕정치 존'처럼 우수한 선수나 베테랑들에게는 판정이 후한 경향이 있었는데, 이런 모습이 사라지며 야구가 좀 더 공정해졌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