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은 첨가제 산업 입문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다가오는 8월 28~29일(목~금) 양일간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고기능성 첨가제 기술 교육(2025)’을 개최하여 플라스틱 및 코팅 첨가제부터 전기·전자·이차전지 분야의 미래 첨단소재용 기능성 첨가제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더불어 첨가제 시장의 최신 동향과 산업별 적용 전략을 심도 있게 소개할 예정이다.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첨가제 산업이 빠르게 대응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
특히 PFAS-Free, RoHS, REACH, UL94 등 주요 환경 및 화학물질 관련 규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제품 설계 단계부터 유해물질 저감과 규제 문서화 시스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생분해성 · 저탄소 첨가제 개발과 함께 전과정 환경영향평가(LCA) 기반의 제품별 탄소배출 정보 제공을 통해 고객사의 ESG 경영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지속가능한 소재 혁신과 책임 있는 제품 개발을 촉진하는 산업 전반의 구조적 전환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시장 흐름에 따라, 2025년 고기능성 첨가제 기술 교육은 △ 첨가제 적용 기술 및 PFAS-free 첨가제 개발 현황 △ Isosorbide와 유도체의 활용 및 기능성 첨가제로의 응용 △ 주요산업별 난연제와 Global 규제에 따른 난연화 기술의 변화에서 환경 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 첨가제 소재 개발 동향 및 향수 전망을 알아본다.
주요 연사로는 Good Solution, BYK Korea, 삼양이노켐, 대진첨단소재, 애경케미칼, 동화일렉트로라이트 등 국내외 첨가제 산업 전문가가 강연에 나설 예정이다.
첨가제 교육 1일차에서는 플라스틱 및 코팅 첨가제의 이해를 주제로 플라스틱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슈퍼 EP의 이해, 플라스틱 컴파운드용 첨가제에 대해 알아보며, 페인트·코팅용 첨가제 적용 기술 및 PFAS-free 첨가제 개발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 시간에는 바이오매스 100% 첨가제로서의 이소소르비드(Isosorbide)의 기술적 특성과 첨가제 용도 및 산업별 적용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첨가제 교육 2일차에서는 첨단소재 첨가제의 종류 및 특성을 주제로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플라스틱 개질을 위한 핵제와 가수분해 방지 솔루션과 첨단 산업 적용 트렌드, 주요산업별 난연제 요구 특성과 적용 사례, 전기·전자 공정의 정전기·EMI·방열 제어를 위한 탄소 기반 나노소재 첨가제(CNT, 그래핀, 하이브리드), LiB(리튬이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의 이해 및 기술 동향 등 첨단산업에 적용되는 고기능성 첨가제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교육 신청은 화학경제연구원 홈페이지 www.cmri.co.kr 에서 선착순으로 받고 있다.
- 화학경제연구원 관계자는‘이번 교육은 첨가제 기술의 산업별 적용성과 미래 확장성을 조망하며 소재 개발자, 제품 설계자, 품질 담당자, ESG 전략 기획자 등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 등록문의: 교육팀 02-6124-6660, 내선 503 seminar@cheml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