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기업 고객이 100만곳을 넘어섰다.
오픈AI는 직접 계약을 맺고 자사의 비즈니스 플랫폼 '챗GPT 포 워크'와 개발자 플랫폼을 사용하는 기업 고객의 수가 100만을 돌파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오픈AI는 '챗GPT 포 워크' 플랫폼에 실제 접속하는 계정 수는 불과 2개월 만에 40% 증가해 700만 개를 넘어섰으며, '챗GPT 엔터프라이즈'의 계정 수는 연간 9배 성장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기업 고객으로 바이오 기업 암젠,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 유통업체 타깃, 네트워크 기업 시스코, 통신기업 T-모바일 등을 들었다.
한국 기업인 SK텔레콤과 LG전자, LG유플러스 등도 함께 게시된 영상에서 언급됐다.
오픈AI의 기업 고객 수는 경쟁 서비스인 앤트로픽 '클로드'의 기업 고객 수와 견줘 3곱절이 넘는 수준이다.
앤트로픽은 지난 9월 기업 고객의 수가 30만곳 이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오픈AI는 개인 고객에, 앤트로픽은 기업 고객에 집중한다는 기존의 인식을 뒤집는 것이다.
실제로 오픈AI는 추정 연 매출액 130억달러 중 70%가 개인 구독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고, 챗GPT의 주간 사용자 수는 8억명에 달해 월간 사용자(MAU)가 2억명이 안 되는 클로드를 압도하고 있다.
반면 앤트로픽은 70억달러 수준인 연 매출의 80%가 기업 고객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오픈AI는 대중적 인지도와 영향력에 신경을 쓰는 반면, 앤트로픽은 사업의 내실을 쌓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픈AI는 이날 발표를 통해 챗GPT가 개인 고객과 기업 고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사냥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오픈AI는 “챗GPT의 도입과 투자수익률(ROI) 실현은 (경쟁 상품보다) 더 빠르다”며 “이용자들이 챗GPT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GPT를 도입할 때 시범 기간과 마찰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GAM] 트윌리오 ① 3분기 사상 최대 실적...매출·수익성 동반 개선](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